IT/바이오

“연구실 UPS 배터리 전수조사”…과기정통부, 화재 예방 강화 방안 내놨다

문경원 기자
입력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IT·바이오 연구현장에서의 안전관리 필요성에 경고등을 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계기로 전국 주요 대학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배터리에 대해 실태조사와 현장점검을 실시한다고 공식 밝혔다. UPS는 정전 등 응급상황에서 비상전원을 공급하며, 고가·민감 장비를 다루는 연구실에서 필수적으로 쓰인다. 하지만 납축전지, 리튬이온배터리 등 종류를 불문하고 배터리 상태 관리가 소홀하면 화재 등 치명적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24일까지 전국 270여 개 대학 내 연구실을 대상으로 자체 점검을 시행한다. 대학들은 자체적으로 납축전지·리튬이온 등 UPS 배터리 종류와 사용 기간, 외관 손상 등 이상 유무를 진단해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점검 과정에서 노후화나 이상 징후가 포착된 배터리는 즉각 교체 지시가 내려진다. 특히 이번 점검은 단순 서면조사에 그치지 않고, 배터리 교체 지연이나 관리가 미흡한 기관을 대상으로 11월까지 현장점검도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UPS 본체 및 배터리의 관리 실태, 규정된 교체주기 이행, 보관상태가 통합적으로 점검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장점검 결과를 토대로 우선순위가 높은 연구기관에서는 예방조치와 관리 방법 개선 조치가 병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대학 연구실 화재 사고가 반복되는 배경에 ‘노후 UPS 배터리 관리 부실’이 있다는 우려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제로 미국과 일본 등도 연구기관 내 배터리 안전점검 의무화를 통해 유사 사고 예방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체 점검과 현장점검을 체계적으로 병행하는 것이 배터리 사고 가능성 감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분석한다.

 

홍순정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배터리 부실 관리가 대형 사고로 확산될 수 있는 만큼 대학 현장이 자율적 점검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연구환경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전수조사가 화재 등 예기치 않은 사고를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기정통부#ups배터리#연구실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