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실장 임명 과정 소환 통보”…특검, 한덕수·김건희 연이은 수사 압박
국무총리 비서실장 임명을 둘러싼 매관매직 의혹과 김건희 여사의 해군 선상파티 사건을 두고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전·현직 핵심 인사들을 상대로 연이은 소환과 수사에 나서며 정치적 긴장이 한층 고조됐다.
5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오는 9일 오전 10시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달라는 우편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를 상대로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의 맏사위 박성근 변호사가 2022년 6월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배경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다. 이봉관 회장은 같은 해 3월 김건희 여사에게 귀금속을 전달하며 맏사위의 공직 임명을 요청했다는 취지로 최근 자진 진술했다.

현재 이봉관 회장은 피의자, 박성근 전 비서실장은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의 조사를 마쳤으며, 특검팀은 매관매직 의혹의 실체에 다가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특검은 '해군 선상파티 의혹'에 대해 김건희 여사와 김성훈 전 대통령실 경호처 차장을 대통령경호법 위반 혐의로 동시에 수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이날 대통령실 경호처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관련 수사자료를 확보했고, 이 자료 분석 이후 김 여사와 김 전 차장의 소환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해당 의혹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2023년 8월 해군 귀빈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군 자산을 사적으로 사용했다고 처음 제기한 사안이다. 대통령경호법 제18조에 따라 경호처 공무원의 직권 남용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했다.
한편, 민중기 특별검사의 '통일교 변호인과의 면담'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특검팀은 "우려와 지적을 잘 새기겠다"고 유감을 표하며, "더욱 완벽한 수사가 되도록 성찰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최근 이 변호사가 특검팀 사무실을 방문해 짧은 인사를 나눈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적절한 접촉 아닌지 논란이 일었다. 특검팀은 "일상적 인사만 나눴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선 수사윤리 문제를 제기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 수사를 둘러싼 압박이 한층 거세졌다"는 반응과 함께 공직 임명 절차와 대통령실 사적 이용 의혹이 맞물리며 정국 혼란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앞으로 특검팀의 참고인·피의자 추가 소환 결과와, 이번 압수수색 자료 분석 결과에 따라 정치권 파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