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통일정책 사회적 대화 전국 확산”…민주평통, 서울 원탁회의로 공론 닻올려
대북·통일정책의 사회적 대화를 둘러싸고 대통령 직속 헌법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시민사회단체가 공론장에서 맞붙었다. 200여 명이 직접 참여하는 전국 릴레이 원탁회의가 서울에서 시작되면서, 국민참여형 통일정책 플랫폼 마련이 한국 정치의 새 변수로 떠올랐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는 오는 31일 오후 2시, 서울여성플라자 국제회의장에서 ‘평화와 통일 사회적 대화 2025 전국 릴레이 원탁회의 서울’을 연다고 30일 예고했다. 이 회의는 다양한 시민 목소리를 수렴해 남북관계, 통일 정책에 대한 공감대 구축을 목표로 기획됐다.

행사에는 민주평통 자문위원, 한국YMCA전국연맹 등 7대 시민사회단체 회원, 일반 시민 200여 명이 참여한다. 토론 의제는 우리 사회 평화와 통일의 걸림돌, 남북 평화협력 분야 모색, 긴장 고조 국면에서의 최소 실천 방안 등으로 구성됐다. 민주평통사무처는 “사회적 대화를 전국 각 지역회의 또는 지역협의회 주관하에 전국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화가 이재명 정부의 대북·통일정책 공약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평가가 나왔다. 실제로 이재명 정부는 남북관계 및 통일정책을 둘러싼 국민적 합의 기반 마련을 중점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한편 각계에서는 이 같은 전국 토론 확산 흐름이 향후 남북관계 개선, 통일정책 방향 설정에 대중적 동력을 제공할 수 있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대화가 실제 합의와 정책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과 “공론화 과정에서 시민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면 국민적 지지 확보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동시에 나온다.
민주평통은 서울 회의를 시작으로 각 지역별 릴레이 토론회를 연속 개최할 예정이며, 정부는 현장 시민의견을 수렴해 실효성 높은 대북·통일정책 마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