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내 인증 규제, 일본의 18배”…안철수, 행정규제법 개정안 발의 파장
정치

“국내 인증 규제, 일본의 18배”…안철수, 행정규제법 개정안 발의 파장

조보라 기자
입력

국내 인증 규제의 과잉 문제를 둘러싸고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과 정부 부처 간 논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을 옥죄는 ‘법정 인증’이 일본보다 18배 많다는 현실이 재조명되며, 안철수 의원이 행정규제기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2일 국회에서 안철수 의원은 “규제개혁위원회가 중앙행정기관이 신설할 수 있는 인증의 총량을 정하고, 이를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행정규제기본법 개정안의 핵심 취지를 설명했다. 현재 국내엔 총 257개의 법정 인증이 존재하며, 이는 일본(14개), 유럽연합(40개), 미국(93개), 중국(18개)과 비교해도 현저히 많은 수치다. 안 의원은 “인증 규제 총량제가 도입되면 불필요하거나 중복된 인증 절차를 줄일 수 있다”며 “중소·벤처기업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인증을 받는 데에는 기업당 수백만원이 소요되며, 대부분의 업체가 최소 2~3개씩 인증을 받아야 영업이 가능하다. 안철수 의원은 “인증 하나당 비용이 100만원에서 500만원까지 든다”며 “이런 인증은 기업 활동에 통행료와 다를 바 없어 생태계를 위축시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각 부처가 인증 총량 범위 안에서만 인증을 운용하게 하고, 주기적으로 해당 인증의 유지 필요성을 평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경제계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일부 정당 및 전문가들은 지나치게 많은 인증 규제가 국내 산업 경쟁력을 떨어뜨린다고 지적하지만, 일각에서는 ‘규제 최소화’가 곧 안전성 저하나 부실 검증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반박한다. 이에 대해 안 의원 측은 “총량제는 안정성을 해치지 않고, 불필요한 이중 규제만 걷어내겠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이번 안철수 의원의 법안 발의로 국회 내 규제개혁 논의가 가속화될지 주목된다. 정치권은 해당 개정안을 두고 실효성 및 경제적 파장을 둘러싼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국회는 향후 상임위원회에서 법안 내용을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이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철수#행정규제법#인증규제총량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