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예약부터 결제까지 대행”…오픈AI, 에이전트 통합 출시로 업무 자동화 가속
챗GPT가 검색, 예약, 결제, 보고서 작성 등 실생활과 사무업무 전반에 직접 개입하며 IT 산업의 업무자동화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오픈AI가 공식 발표한 ‘챗GPT 에이전트’는 단순 정보 질의·응답을 넘어, 실제 예약·구매·리서치·프레젠테이션 작성까지 일괄 처리하는 통합 AI로 평가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출시에 대해 인공지능의 실사용 자동화 경쟁의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오픈AI는 17일(현지 시간) 세 번째 AI 에이전트 '챗GPT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그간 분리돼 있던 AI 작업자동화 도구 '오퍼레이터'와 웹리서치 도구 '딥 리서치'의 기능을 통합,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복합 요청을 한 번에 처리하도록 설계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일정에 맞춰 식당을 예약해 달라'고 입력하면, AI가 개별 식당과 예약 플랫폼을 검색·비교해 직접 예약을 마무리한다.
기술적으로 챗GPT 에이전트는 챗GPT 고유의 자연어 이해력과 오퍼레이터의 웹상호작용 기능, 딥 리서치의 종합 분석 능력을 결합했다. 식당예약뿐 아니라 최근 뉴스 기반의 미팅 준비, 4인 가정식 식단·재료 주문, 경쟁기업 분석 및 PT자료 제작까지 모두 자동화된다. 특히 기존 AI·챗봇이 정보만 제시하던 한계를 넘어서, 복수의 웹서비스·플랫폼 작업을 논리적으로 순차 처리하는 게 핵심 성과로 꼽힌다.
서비스 적용은 챗GPT 유료 멤버십 사용자(프로, 플러스, 팀)부터 단계별로 이뤄진다. '에이전트 모드' 설정 시, 대화 중 업무 자동화 명령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업계는 기업 내 리서치, 여행·레저·상거래 예약 등 소비자 서비스뿐 아니라, 자료작성·비즈니스 미팅 준비 분야까지 파급력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사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유사 AI 에이전트 기능을 앞다퉈 탑재하며 글로벌 업무자동화 플랫폼 시장이 이미 본격화된 양상이다. 특히 챗GPT 에이전트는 종합적 작업수행력을 토대로 사용성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는 평이다.
한편 오픈AI는 챗GPT 에이전트가 구매결정 등 실질적 금전거래, 은행 송금 등 고위험 작업을 실행 전 반드시 사용자 허가를 요청하고, 불법적 업무 요청을 사전 차단하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결제 데이터 등 민감정보 보호와 사용자 안전 기제를 강화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기업·개인 업무 환경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이 표준화될 것으로 내다본다. “AI가 실제 서비스 예약과 거래, 자료작성까지 대행하는 경험이 보편화되는 전환점”이라는 해설과 함께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