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좌진에 쓰레기 수거 지시 논란”…강선우 임명 반대 목소리, 시민단체 고발장 제출
보좌관에 대한 갑질 의혹을 둘러싸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반대 목소리가 시민사회에서 높아지고 있다. 7월 11일, 시민단체들은 강선우 후보자의 임명 철회를 촉구하며 직접 행동에 나섰다.
직장갑질119는 이날 낸 입장문에서 “갑질 행위와 관련한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인물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성평등과 인권의 가치를 확산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임명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단체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명백한 갑질이자 공적 권한의 사회적 남용”이라며 강 후보자에게 모든 의혹의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이와 별개로 직장갑질119는 국회와 정당에 ‘보좌진을 대상으로 한 인권 침해 및 갑질 실태조사’를 공식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체계적인 조사와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민단체 서민민생대책위원회 역시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고발 절차를 진행했다. 같은 날 서민위는 서울경찰청에 강 후보자를 직권남용, 강요, 근로기준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단체 측은 이번 의혹이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공적 지위 이용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강선우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잦은 보좌진 교체, 사적 심부름 지시, 쓰레기 수거 및 고장 난 변기 처리 등의 사례로 구체화됐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장관 임명을 두고 사회적 기준의 엄정 적용 필요성을 재차 제기하고 있다.
여야는 해당 의혹의 진상 규명과 임명 적합성 여부를 놓고 첨예한 입장 차를 드러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의혹만으로 임명에 제동을 거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도 있지만, 각종 시민단체와 노동계는 “사회적 책임이 큰 자리에 걸맞는 검증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국회 및 정당 차원의 인권 실태조사, 수사 당국의 고발장 검토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국은 강선우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공방으로 한동안 격랑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