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 감기와 달라”…여름철 실내외 온도차 건강 경보
에어컨 등 냉방기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여름철 냉방증후군, 이른바 ‘냉방병’ 환자가 늘고 있다. 냉방병은 두통, 피로, 근육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혼동되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의료계에 따르면 냉방병은 실내외 온도 차가 5도 이상 벌어질 때 신체 자율신경계가 급격한 기온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다. 최근 무더위가 이어지며 에어컨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관련 증상 호소 사례도 증가세다.
냉방병의 주요 원인은 과도한 실내외 온도차와 장시간 냉방 노출, 에어컨 필터와 냉각수 속 세균,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증식하는 레지오넬라균 감염 등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두통, 전신 피로, 어지럼증, 근육통이 대표적이며, 인후통과 콧물, 기침 등 감기와 비슷한 호흡기 증상도 자주 동반된다. 위장장애나 여성의 경우 생리통 악화 등 다양한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냉방 환경을 벗어난 뒤 증상이 완화되는지 확인하면 감기와의 구별에 도움이 된다. 반면 고열이나 근육통, 호흡곤란 등이 3일 이상 지속될 경우 레지오넬라균 감염 등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윤지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냉방병이 장기화되면 면역 저하, 만성피로증후군, 소화기 장애 등 만성 증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천식, 알레르기,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의 경우 증상 악화와 기저질환 악화 위험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의료계는 냉방병 예방을 위해 실내외 온도차를 5도 이내로 유지하고, 실내 온도를 24~26도로 조절할 것을 권장한다. 에어컨 필터는 2주에 한 번, 2~4시간마다 5분 이상 환기, 수분 충분 섭취, 규칙적인 운동 등 건강 습관이 강조된다. 찬 음식 섭취를 줄이고, 수면 시 복부를 보호하는 것도 증상 예방에 효과적이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에어컨 사용이 불가피한 환경에서 냉방병을 단순 감기로 간주하지 말고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산업계는 이번 여름 냉방병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 개인 건강뿐 아니라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예방·관리 서비스 확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