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 사고 5년간 189명 사상”…서일준, 산업 현장 안전대책 촉구
국가산업단지 내 안전사고가 정치권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국민의힘 서일준 의원이 4일 산업 현장 사고 통계를 근거로 산업단지 안전대책 강화를 촉구하면서, 산단 내 노동환경의 현주소를 확인시켰다. 최근 5년간 산업단지에서 189명의 근로자가 사고로 희생된 것으로 드러나며 노동계와 지역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서일준 의원은 이날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실적지표를 근거로 “지난 5년 동안 국가산업단지에서 사망·부상 등으로 사상자가 189명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세부적으로 2020년 31명(사망 21명·부상 10명), 2021년 45명(사망 24명·부상 21명), 2022년 68명(사망 22명·부상 46명), 2023년 22명(사망 16명·부상 6명), 2024년 23명(사망 20명·부상 3명) 등, 최근까지도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4년의 경우 8월까지 이미 11명이 숨지고 5명이 추가로 부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일준 의원은 “산단의 꾸준한 경제 기여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는 위축되고 현장 사고까지 늘고 있다”며 “고용과 안전을 두 축으로 삼아, 현장 밀착형 인력양성 등 지역별 맞춤 전략을 통해 산단이 경제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안전사고 관리·예방의 실효성 확보와 관련 제도 보완 필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정치권에서는 산단 안전과 노동자 권익을 둘러싼 공방 역시 거세다. 여당은 지역경제 및 일자리 창출과 함께 안전관리 강화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편 야당 내에서도 산단 내 근로자 보호책 마련, 안전규정 준수 여부 점검 등을 촉구하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노동계와 시민사회의 “안전조치 실효성 부족” 지적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문제 제기는 산업단지의 경제적 역할 이면에 구조적 노동환경 취약성이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거듭된 현장 사고 발생은 산단 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혁신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산업기반 신뢰 회복과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해 정치권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향후 산단 안전실태 집중 점검과 함께, 입법 및 제도 개선 방안 논의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정치권은 산단 내 노동환경 개선을 두고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