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문 안 열림 신고 잇따라”…미국 NHTSA, 테슬라 모델Y 17만 대 결함 조사
테슬라 전기차의 차 문이 열리지 않는다는 신고가 미국에서 잇따르며 소비자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사 사례가 반복되는 배경에 전동식 잠금장치의 신뢰성 문제와 아동 안전 논란이 동시에 불거진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시장 전반에 걸친 전자 제어 시스템의 안전성 재점검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16일(현지시간) 2021년식 테슬라 모델Y 17만4,290대에 대해 예비 결함조사에 착수했다. NHTSA 결함조사실(ODI)에 따르면, “차 문이 열리지 않는다”는 차주 신고가 9건 접수됐으며, 주로 보호자가 주행 후 뒷좌석에서 아이를 태우거나 내리려 할 때 문이 열리지 않는 상황이 반복됐다. 일부 운전자는 차 안에 진입하기 위해 직접 창문을 깨야만 했다고 전했다.

차량에는 수동 잠금 해제 장치가 있으나, 어린아이가 이를 스스로 조작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NHTSA는 “차량 내 남은 탑승자가 비상시에 구조받지 못할 수 있다”며 전동식 잠금장치의 전원 공급 방식, 신뢰성 등도 조사 대상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전동식 시스템 문제와 관련해 소비자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2년식 모델S, 2023년식 모델3, 2020·2022·2023년식 모델Y 등 다른 연식 모델에서도 유사한 신고가 꾸준히 보고됐고, 2018년 이후 관련 불만이 140건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테슬라의 리콜·조사 확대 가능성에 투자자와 소비자 모두 주목하고 있다.
자동차 안전 전문가들은 “전동식 잠금장치의 결함이 구조 지연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차량 내 비상탈출 매뉴얼과 안전장치의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테슬라와 같은 첨단 전기차 제조사의 품질 및 안전관리 체계가 더 엄격해질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NHTSA는 조사 결과에 따라 테슬라에 추가 자료를 요구할 예정이며, 필요 시 리콜 등 후속 조치 논의까지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조사 결과가 전기차 산업 전반의 안전기준 강화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향후 테슬라와 미국 당국의 추가 대응, 신차 안전 검증 강화 방안 등이 시장 안팎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