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거품 우려에 공포 심리 확산”…미국 뉴욕증시, 기술주 중심 조정 심화
현지시각 기준 18일, 미국(USA)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인공지능(AI) 관련주 고평가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이번 조치는 AI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조정 국면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이며, 글로벌 금융시장 투자 심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AI 랠리를 이끌어온 대표 종목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경계심도 겹치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맥락이다.
현지시각 기준 18일 장 마감 기준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8.50포인트(−1.07%) 떨어진 46,091.74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5.09포인트(−0.83%) 하락한 6,617.32에,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종합지수는 275.23포인트(−1.21%) 밀린 22,432.85에 각각 마감했다. 이로써 뉴욕증시는 S&P 500 지수 기준 4거래일 연속 약세 흐름을 이어가며 최근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다.

시장에서는 AI 관련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높다는 인식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준이 12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확산한 뒤 기술주를 중심으로 조정 매물이 계속 쏟아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AI 열풍이 올해 뉴욕증시 상승을 견인해온 만큼, 관련 주가에 대한 재평가 압력이 커지면서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가상자산 시장도 약세를 보였다. 뉴욕증시 개장 전 비트코인 가격이 장중 9만달러 아래로 내려간 점이 위험 자산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위험 선호 심리 약화가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을 동시에 압박하는 구도가 다시 부각된 셈이다.
AI 대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2.81%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70%, 아마존은 4.43% 떨어지는 등 주요 빅테크 종목도 큰 폭의 조정을 피하지 못했다. 엔비디아는 19일 뉴욕증시 마감 후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어, 투자자들이 실적과 가이던스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가운데 사전 포지션 조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가 다시 한 번 강한 실적을 제시하더라도 이미 형성된 고평가 부담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AI 생태계 전반의 불안감은 반도체 업종으로 확산됐다. AMD는 4.25%, 마이크론은 5.56% 떨어지는 등 주요 반도체 종목이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 반도체 업종 전반으로 하락 압력이 강해지면서, AI 서버 투자 확대에 기대를 걸었던 투자 심리가 시험대에 오른 모습이다.
한편 오픈AI 경쟁사로 꼽히는 엔트로픽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약 300억 달러 규모의 MS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매하겠다고 발표했다. 대형 AI 기업 간 협력이 확대되는 신호로 받아들여졌지만, 이날 뉴욕증시 전반에 퍼진 경계 심리를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AI 성장 스토리 자체는 유지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실적과 현금창출 능력에 대한 검증 요구가 커지는 국면이다.
플랫폼·인터넷 기업도 혼조세를 보였다. 메타는 미국 규제 당국이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승소하며 장 초반 낙폭을 줄였지만, 장 마감까지 상승 전환에는 실패하며 0.72%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다. 규제 리스크 완화 요인이 있었음에도 전반적인 시장 약세 흐름을 이기지 못한 셈이다.
실물경제를 가늠하는 유통주도 부진했다. 대형 유통체인 홈디포는 연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6.02% 급락했다. 이번 주 실적 발표를 앞둔 월마트 역시 1.52% 떨어지는 등 다른 주요 유통주 전반이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소비 경기의 둔화 가능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경기 방어주 역할을 기대받던 유통주도 압박을 받는 분위기다.
이날 챗GPT와 엑스(X·옛 트위터) 등 여러 사이트에서 발생한 접속 장애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웹 인프라 기업 클라우드 플레어 주가는 2.83% 하락했다. 글로벌 인터넷 트래픽을 중계하는 핵심 기업의 장애 이슈가 불거지면서 디지털 인프라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일시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치·사회 이슈와 연계된 종목도 크게 흔들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가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의 모회사 트럼프 미디어는 이날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주가가 10.73달러로 떨어졌다. 상장 후 최저가를 다시 쓰며 초기 상장 당시 과열된 기대감이 상당 부분 꺼진 상황을 보여줬다.
시장 참가자들의 관심은 단기적으로 두 가지 지표에 쏠리고 있다. 하나는 19일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발표, 다른 하나는 20일 공개될 9월 미국 고용 보고서다. 엔비디아 실적은 AI 투자 사이클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할 핵심 잣대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고용 지표는 연준의 향후 금리 정책 방향을 가늠할 단서로 주목된다. 두 변수에 따라 기술주 중심의 조정이 단기 조정에 그칠지, 보다 장기적인 재평가 국면으로 이어질지가 갈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산관리 서비스 업체 임파워의 마타 노턴 투자전략가는 “실적 발표 시즌을 맞아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내놓고 있음에도 투자 심리가 상당한 재조정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시장 전반에 여전히 공포 심리가 감돌고 있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투자자들이 연준의 최종 금리 수준과 유지 기간, AI 성장주의 적정 가치에 대해 다시 계산에 들어갔다는 해석이 뒤따른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미국 증시는 여전히 방향성을 결정짓는 기준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뉴욕증시의 AI·기술주 조정이 다른 주요국 증시와 글로벌 위험 자산 전반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향후 엔비디아 실적과 미국 고용 지표 결과에 따라 글로벌 자금 흐름과 시장 심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AI 관련 종목을 둘러싼 기대와 경계가 교차하는 가운데 변동성 높은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