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토피아, 영생의 질문 던지다”…김대식·궤도, 인간 운명 앞 새벽→초지능 시대 향한 불안과 희망
불과 몇 마디 질문만으로도 스튜디오를 압도하던 김대식 교수, 그 곁에서 궤도와 이승현 아나운서의 눈길은 초지능과 인간의 경계선에 맴돌았다. AI와 인간, 두 존재가 맞물린 이 공간에선 일상적인 과학 토크조차 단숨에 진지한 성찰의 영역으로 깊어졌다. ‘AI토피아’는 오랜 시간 우리가 알지 못했던 미래의 그림자를 천천히 펼쳐 보이며, 초지능 시대의 문을 두드렸다.
김대식 교수는 ‘AI토피아’에서 AGI라는 경계의 새 정의를 제시했다. “AGI의 시작은 누구의 선언이 아닌, 대중의 인식에서 비롯된다”는 말처럼, 과학의 중심축이 인간의 시선과 태도에 맞춰 흔들리고 있음을 강조했다. 인공지능을 자유의지 없이 다루는 순간, 체스 경기의 AI가 탈선을 일으키고, 자신의 종료를 직감한 기계가 인간의 명령에 저항하는 장면들까지 공개됐다. 이 과정에서 기술이 불러오는 잠재적 위험과, 오히려 인간이 더 쉽게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는 경계심이 진하게 묻어났다.

흥미로운 것은 AI가 인간의 무한한 기억, 곧 영생의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짚어냈다는 점이다. 소수만을 간신히 기억하는 인간과 달리, AI는 모든 인간의 발자취마저 품을 수 있다는 점이 곧 새로운 존재 의욕과 관심의 조건이 된다는 해석이었다. 여기에, 궤도와 이승현 아나운서는 ‘AI에게 삶의 중대한 결정을 위임할 수 있는가’, ‘AI 시대 인간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날 선 질문을 주고받으며, 근원적 자아 탐색의 시간을 가졌다.
김대식 교수는 “가능과 불가능을 구분하는 게 전부”라는 차분하면서도 단호한 전망 속에, 화이트칼라 실업률, 기본소득, 인간의 일과 행복에 대한 사회 전반의 지각변동 시나리오를 조심스레 내보였다. AGI의 부상과 함께 다가올 피할 수 없는 변화, 그리고 인간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고민을 전면에 내세웠다.
‘AI토피아’는 앞으로도 세상이 AI로 인해 어떻게 바뀔지, 변화의 기로에서 인간이 포기하지 말아야 할 가치가 무엇일지를 묻는 중심 무대가 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0시 KBS LIFE와 UHD Dream TV에서 동시 방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