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누리호 기술 업그레이드 요구”…국정기획위, 우주산업 토론 활발
IT/바이오

“누리호 기술 업그레이드 요구”…국정기획위, 우주산업 토론 활발

문수빈 기자
입력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 고도화와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는 24일,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해 민관 협력을 통한 정책 방향을 조율했다.  

간담회에는 국정기획위원, 산업계·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누리호 발사체 기술의 산업화와 민간시장 진입 확대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현장에서는 누리호의 성능 개선과 다양한 궤도 발사 역량 확보가 차세대 우주 경쟁력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제언이 이어졌다. 특히 누리호는 2027년 예정된 6차 발사 이후 추가 발사 계획이 부재한 가운데, 기술개발과 단계별 개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현재 국내 누리호 기술이 단독 위성 발사 능력을 보유했으나, 다양한 미션을 소화할 수 있는 궤도 다양성, 재사용성 확대와 같은 미국 등 선진국 수준의 성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누리호의 신뢰성과 발사정밀도, 비용절감 등은 글로벌 위성발사 시장 진입의 핵심 조건으로 꼽힌다.  

시장 측면에서 국내 발사 비용이 해외 대비 여전히 높다는 한계가 지적됐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발사 수요 창출 없이는 단가를 낮추기 어렵다고 진단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위성 발사 등 정부가 주도하는 초기 수요를 민간 기업에 우선 배분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미국 스페이스X 등은 정부·군 발사에 민간기업을 적극 참여시켜 시장 기반을 확대한 바 있다.  

한편 국내 우주산업은 여전히 초기 단계다. 이날 토론에서는 거버넌스 일원화, 민간 투자 인센티브 등 산업 기반 강화 정책과 함께, 기술개발→사업화→시장진출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 생태계 구축 필요성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기술경쟁력뿐 아니라 시장수요와 정책지원이 결합해야 우주산업이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황정아 위원은 “뉴 스페이스 시대에 걸맞은 우주산업 정책 설계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 반영할 것”이라며, 향후 정부 우주산업 전략이 업계의 성장 토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실질적인 정책 변화와 지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정기획위원회#누리호#우주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