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한달전 이미 국민의힘 입당”…비주류 ‘혁신 역행’ 파장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앞장서서 반대한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의 국민의힘 입당 사실이 한 달여 만에 당 안팎에 뒤늦게 전해지며 정치권을 흔들고 있다.
전한길씨는 지난달 8일 ‘전유관’ 실명으로 국힘 온라인 당원 가입을 신청했고, 국민의힘 서울시당은 이튿날 해당 입당을 승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 입당 사실은 최근 14일 윤상현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전씨가 직접 당원임을 밝히기 전까지, 당 지도부조차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토론회 발언 이후, 국민의힘 정점식 사무총장은 17일 비상대책위원회 종료 후 전씨 입당 경위에 대해 “6월 9일에 입당이 됐다. 온라인으로 들어온 경우 구체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다. 거부도 제도상 어렵다”고 말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 역시 “입당 신청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이 많다. 생각이 다르다고 막을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이 소식이 퍼지자 강경 보수층의 대표인 전씨의 입당이 향후 정당 내 ‘극우화’ 논란을 촉발할 수 있다는 비주류의 비판이 고조됐다. 한동훈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한길 강사 같은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석열 어게인’의 아이콘이 국민의힘에 입당한 걸 국민은 어떻게 볼지 생각해야 한다”고 썼다. 계엄 사죄를 당헌·당규에 포함하는 혁신안을 제안한 윤희숙 혁신위원장 역시 “가입을 막을 수 없지만, 당의 미래가 점점 더 위태로워진다”며 우려를 표했다.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도 “내가 당 비대위원장이었더라면 당원자격심사위를 열어 입당을 막았을 것”이라며 “부정선거와 계엄을 옹호한 전한길씨를 즉시 출당하라”고 SNS에서 강조했다.
이에 대해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한 개인 입당에 호들갑 떨 필요 없다. 원칙상 제명·탈당 전력이 없으면 자격심사가 의무도 아니고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다”며 상황을 축소했다. 이어 “어떤 당원이든 당헌·당규에 어긋나면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며 “자정 능력을 믿어달라”고 덧붙였다.
당내 혁신 요구가 거센 가운데, 강경보수 성향인사가 당원으로 공식 참여한 사실이 알려지며 국민의힘 핵심 가치와 혁신 의제가 뒤흔들리고 있다. 정치권은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의 대응과 당내 자정 시스템 작동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