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러시아에 1천200만발 포탄 지원”…국방정보본부, 북한 무기 지원 실태 심각 경고
북러 군사 협력이 위험수위를 넘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방정보본부가 13일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실에 제출한 공식 자료에서 북한이 최근까지 152mm 기준 1천200만발 이상의 포탄을 러시아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전례 없는 규모의 군수품 이동에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 안보 우려가 커지는 양상이다.
국방정보본부는 “북한은 컨테이너 2만8천여개 분량의 포탄 등을 러시아로 반출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152mm 단일 탄종으로 환산시 1천200만여발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유관기관, 우방국들과 협조해 최신 지원 규모를 산정 중”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전장에서도 북한제 무기가 대량 소모되고 있다는 현장 증언도 나왔다.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 키릴로 부다노우 국장은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을 통해 “러시아군이 사용하는 탄약의 약 40%가 북한산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북한은 탄약 뿐 아니라 탄도미사일, 포격 시스템 등 다양한 무기를 보내고 있으며, 전투 병력까지 파견했다”고 지적했다. 부다노우 국장은 “저것들은 좋은 무기들”이라면서 최근 3개월간 자신들의 정보부대 손실 60%가 북한 무기를 사용한 러시아군 포격 때문이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도 파장과 대응 방안을 놓고 신경전이 이어진다. 보수 진영은 한미일 동맹을 통한 대북·대러 공조 강화를 주장하는 반면, 일각에서는 추가 대북 제재와 국제사회 공조 필요성도 제기된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동북아 안보지형이 급변할 조짐”이라며 한반도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군은 우방국과의 정보 공유와 북한 군수품 이동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한국군 당국은 “북러 무기 협력의 현황과 향후 확산 가능성을 면밀히 주시하며, 국제사회와 연계한 외교적 압박과 군사적 대비책을 병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북한의 러시아 무기 지원 논란을 둘러싸고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으며, 관련 법안 및 추가 대응책 논의가 국회 차원에서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