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다영역 연합훈련 격상”…합참, 3차 프리덤 에지 15일부터 제주 동남방서
한미일 3국의 안보 연합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9월 5일,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제주 동남방 공해상에서 한미일 다영역 훈련 ‘2025 프리덤 에지’가 실시된다고 밝혔다. 한미일의 공동 군사훈련은 각국 정부 교체 이후 처음이며,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정치권과 외교·안보 지형에 파장이 예상된다.
합참에 따르면 이번 훈련은 해양·공중·사이버 등 다양한 영역에서 3국의 작전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프리덤 에지를 통해 3국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합참은 설명했다. 특히 "국제법과 규범을 준수하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지역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연례적인 훈련"임을 강조했다.

프리덤 에지는 지난 2024년 6월과 11월 각각 제주 남방 해상에서 두 차례 실시된 바 있다. 당시에는 해상 미사일방어, 방공 및 공중훈련, 대잠수함작전, 수색구조, 해양차단, 사이버방어 등 3국 연합의 다영역 작전이 이뤄졌다. 과거 한미일이 일회성으로 각각 해상 또는 공중에서 군사훈련을 진행한 적은 있었으나, 이처럼 다영역의 정례훈련 형식은 프리덤 에지가 처음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세 번째 훈련은 10개월 만에 열리며,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과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첫 3국 합동 군사훈련이다. 새로운 한미일 정부가 모두 출범한 직후 진행되는 만큼, 안보 협력 기조의 연속성 및 강화 의지가 재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훈련 세부 내용에 대해 "한미일 3국이 협의 중이며, 지난 1∼2차 훈련 내용과 유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안보 전문가들은 한미일 연합훈련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전략적 균형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발사와 핵개발 움직임, 중국·러시아와의 신냉전 구도 등 복합적인 안보 환경 속에 3국 공조의 실효성이 연일 도마에 오르고 있다.
한편 정부는 3국 협력을 축으로 북한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국제법 규범을 준수하는 훈련임을 강조하고 있다. 합참은 앞으로도 한미일 다영역 연합훈련의 정례화를 통해 지역 안보 공조를 한층 심화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