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WS 생성형 AI 역량 검증”…아이티센씨티에스, 글로벌 파트너십 도약

김서준 기자
입력

생성형 AI 전문 역량이 IT 인프라 시장의 주도권을 좌우하는 흐름이다. 아이티센씨티에스는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로부터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AWS Generative AI Competency)’ 인증을 취득하면서 국내 AI 클라우드 산업 내 입지를 확대했다. 업계는 이번 인증 획득을 글로벌 AI 파트너십 확보와 고객 신뢰도 강화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는 ‘아마존 베드록’,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AI’, ‘AWS 트레이니움’ 등 AWS 생태계 내 대표적 생성형 AI 플랫폼 활용 역량을 공식적으로 심사하는 글로벌 인증 제도다.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을 실제 고객 프로젝트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와 기술 심사를 종합 평가한 결과, 우수 파트너에게 수여된다.

아이티센씨티에스는 오랜 기간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과 구축 경험을 축적해왔으며, 최근 개소한 ‘AI 이노베이션 데이터센터’를 통해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기반에서 대규모 AI 워크로드 최적화 인프라까지 갖췄다. 여기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사용자 명령어 최적화), 검색 증강 생성(RAG), 에이전틱 AI(자율적 AI 에이전트) 등 최신 생성형 AI 핵심 기술이 통합된 독자 플랫폼 ‘세나 AI’를 앞세워 엔터프라이즈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실제 금융, 공공 등 복잡한 산업 현장에서 맞춤형 AI 업무 자동화, 데이터 분석, 서비스 고도화가 주요 성과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들은 AI 인프라의 성능, 확장성, 보안성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만큼, AWS 인증을 기반으로 한 검증된 솔루션 역량이 중요해졌다는 평이다.

 

해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등도 자사 파트너 대상 생성형 AI 인증 체계를 도입해 기술 생태계 확장과 신뢰성 제고에 힘쓰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생성형 AI 역량 보유 여부가 대형 프로젝트 수주와 신규 산업 혁신의 판도를 가르는 핵심요소가 됐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비즈니스 현장 도입 확대를 위해 데이터 레지던시, 개인정보보호와 같은 규제 이슈와 AI 윤리 등도 주요 관전 포인트로 부상할 전망이다. 권창완 아이티센씨티에스 대표는 “이번 성과는 당사의 AI 및 클라우드 기술력에 대한 공식 인정을 의미한다”며 “국내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는 고도화된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인증 기반 AI 솔루션이 실제 시장 혁신을 주도할지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이티센씨티에스#aws#세나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