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전 세계 보건 위기로 확산”…국경없는의사회·국회, 국제 공조 강조
기후변화가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전 세계 보건 위기로 번지면서 정치권과 국제 인도주의 단체 간 협력이 중대 의제로 부상했다.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기후·보건 그리고 한국의 역할’ 포럼은 국경없는의사회와 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이 공동 주최해 전문가와 실무진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번 포럼은 중·저소득국가에서 기후 위기가 감염병, 영양실조, 강제 이주, 보건 서비스 접근성 저하 등 복합적 위협을 초래한다는 현실을 짚고, 국제적 공조의 필요성이 급부상한 점에 초점을 맞췄다. 행사 좌장은 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가 맡았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 공동대표)은 "기후와 보건 위기는 국경을 초월한다. 국제 연대로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했고, 엠마 캠벨 국경없는의사회 한국사무소 사무총장도 개회사에서 "국제적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도 역할을 확대해달라"고 주문했다.
주제 발표에서 하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지구 건강 악화로 가장 큰 위험에 노출되는 것은 비단 환경이 아니라 인간 자체"라며 취약 계층 중심의 보호 정책을 강조했다. 제사 폰테베드라 국경없는의사회 스위스 의료 총괄은 "기후변화와 인도적 위기는 긴밀히 연관돼 있다"며, "국경없는의사회는 탄소 감축, 기후 적응 사업을 실천하며 한국과의 협력 확대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는 이연수 한국국제협력단 사업전략처장, 이진원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과장, 패트릭 지통가 녹색기후기금 보건·기후 선임전문가, 정현미 국경없는과학기술자회 부회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이들은 기후위기로 인한 보건 위협 대응에 있어 각국 정부, 국제기구, 시민사회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번 포럼이 한국 사회가 기후·보건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국제 협력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기후위기를 둘러싸고 더욱 복합화하는 전 세계 보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정치권과 국제기구의 연계 논의가 활발해진 만큼, 정부 역시 맞춤형 정책 마련을 촉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