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토피아 혁명 속 인간의 자리”…김상균·궤도, 찬란한 감정의 신비→공존의 미래 해답은
스튜디오의 공기는 따스한 호기심과 깊은 성찰로 가득했다. 김상균 교수와 궤도가 함께한 ‘AI토피아’ 8화는 기술의 진보 한가운데 선 인간의 복합적 감정과 미래에 대한 불안, 그리고 공존의 바람까지 한순간도 시청자의 이목을 놓치지 않았다. 유려한 진행 속에서 AI와 인간의 관계, 그리고 그 경계에 대해 전례 없이 솔직한 대화가 펼쳐졌다.
김상균 교수는 ‘AI는 감정이 없는 존재’라는 명확한 시각을 드러냈다. AI가 마치 감정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데이터로 구현되는 그 감정은 삶의 열망에서 기인한 인간의 감정과는 근본적으로 결이 다르다는 점을 짚는다. 궤도 역시 동의하며 AI의 ‘욕구 부재’와 ‘경험의 한계’를 부연했다. 두 사람은 AI가 인간과 현격히 구분되는 부분이 바로 감정의 내면화와 자의식에 있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인간의 자의식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지금, 인공지능에게 자의식을 부여한다는 자신감 역시 성급한 판단임을 김상균 교수는 덧붙였다. AI를 둘러싼 논의는 단순한 기술의 영역을 넘어, 인간성에 대한 본질적 물음으로까지 확장됐다. 어떤 존재가 자의식을 가질 자격이 있는지, 이는 여전히 풀리지 않은 미지의 숲이다.
진화하는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와 일자리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한 통찰도 이어졌다. 김상균 교수는 “AI가 우리에게서 힘겨운 노동을 덜어주며, 더 나은 역량을 펼칠 기회를 안겨주길 바란다”는 희망을 전했다. 궤도 또한 기업과 사회가 인간과 AI의 상생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책임의 목소리를 높였다.
프로그램은 AI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제도적 현실도 날카롭게 비춘다. 김상균 교수는 사회 전체가 기술 발전에만 안주할 것이 아니라 법과 제도의 개선, 사생활 보호, 윤리적 경계 설정을 병행해야 한다고 진지하게 언급했다. 무엇보다 “삶의 가장 큰 변곡점이 지금 펼쳐지고 있다”며 시청자에게 시대의 준비를 촉구한다.
지식텔러 김상균 교수가 함께한 이번 ‘AI토피아’ 8화는 ‘휴머노이드’라는 키워드를 중심에 두고 AI와 인간의 경계, 감정의 진실, 그리고 미래 일자리에 대한 심도 깊은 담론을 풀어놓았다.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0시 KBS LIFE와 UHD Dream TV, 그리고 일요일 오전 8시 KBS Joy 채널을 통해 ‘AI토피아’의 다음 이야기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