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DHD 치료제 청소년 처방 22% 급증”…서미화, 오남용·부작용 경고
정치

“ADHD 치료제 청소년 처방 22% 급증”…서미화, 오남용·부작용 경고

배진호 기자
입력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 처방량이 청소년 사이에서 가파르게 늘어나며 정치권이 오남용 경고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은 최근 1년간 만 19세 이하 ADHD 치료제 처방이 22% 증가했다며 안전대책을 촉구했다. 치료제가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인식이 청소년 사이에 퍼지면서 정책적, 사회적 파장이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비례대표) 의원이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만 19세 이하에게 처방된 ADHD 치료제는 335만9천226건에 달했다. 특히 작년 한 해에만 136만7천730건이 처방돼, 전년(112만2천298건) 대비 21.9% 증가했다.

부작용 사례도 적지 않았다. 3년간 보고된 ADHD 치료제 부작용 건수는 278건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사례가 확인된 83건 중 19세 미만이 47건(56.6%)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식욕감소(49건), 불면(30건), 구토나 구역(21건), 두근거림(12건) 등이 보고됐다.

 

처방량은 지역별로 수도권에 집중됐다. 지난해 기준 경기 35만265건, 서울 33만8천746건, 인천 6만1천563건 등 3곳이 전국 처방의 상당수를 차지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비수도권 주요 도시에서도 처방량이 뒤를 이었다.

 

서미화 의원은 "ADHD 치료제의 집중력 향상 효과가 알려지면서 일반 청소년 사이에서도 수요가 늘고 있다"며 "오남용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커져야 하고, 안전한 처방을 위한 약물 관리 체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청소년 대상 약물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제기한다. 교육 현장에서의 무분별한 약물 권유, 효과 과장 등도 종종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반면 부모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치료 목적의 정당한 처방까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오는 상황이다.

 

ADHD 치료제 처방 급증과 부작용 논란은 향후 보건의료 정책, 청소년 건강정책 등 국회 차원의 실질 대책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 보건복지위는 오는 정기 국정감사에서 관련 약물 관리 시스템 강화와 청소년 약물 사용 실태 점검에 착수할 계획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미화#adhd치료제#청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