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기록과 예술로 진실 규명”…국회 특별전 개최로 국가 책임 재조명
정치적 과거사 해결을 놓고 대한민국 국회와 제주도, 시민사회가 다시 맞붙었다. 제주4·3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특별전이 10월 14일부터 17일까지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다. 역사적 진실을 예술과 기록으로 풀어낸 이번 전시는 치유와 화해라는 남은 과제에 국회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자리로 주목된다.
제주도와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서귀포시 국회의원실은 23일, ‘제주4·3, 기록과 예술로 밝혀낸 진실’ 특별전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전시는 4·3의 발단부터 도민·시민사회의 진상규명 노력, 국회 및 정부의 제도화 과정을 사진 및 패널로 정리해 선보인다. 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형무소에서 온 엽서’, ‘도의회 4·3피해신고서’ 등 귀중한 사료 복제본과 관련 도서·영상 자료도 함께 전시돼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문학과 미술의 시각에서 4·3을 조명하는 공간도 마련된다. 현기영의 ‘순이삼촌’, 이산하의 ‘한라산’과 같은 문학작품, 강요배의 ‘동백꽃지다’, 박경훈의 ‘옴팡밭’ 등 미술작품이 4·3 진실 규명에 기여한 예술의 역할을 조명한다. 특히 국립제주트라우마치유센터 문학·미술 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직접 제작한 작품도 함께 전시돼, 생존희생자와 유족의 상처 치유와 회복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과거의 상처가 현재진행형 ‘치유와 화해’의 이야기로 이어지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에 맞춰 최근 관련법 개정으로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비 전액이 국비로 지원되는 등 국가 책임 강화 움직임도 이어졌다. 전시 현장에서는 4·3특별법 제·개정, 센터법 제정 등 국회의 입법과정과 그 의미도 소개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4·3 문제 해결의 핵심에 국회의 입법 활동이 있었다”며 “입법부의 중심 공간에서 전시를 연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올해 4월 11일 유네스코에 등재된 제주4·3기록물 1만4천673건은 대한민국 19번째 세계기록유산으로 평가 받으며 인류 공통의 기억자산으로 기록됐다. 개막식은 다음달 15일 오후 4시 30분 국회 의원회관 2층 제2로비에서 예정돼 있다. 중앙정부와 국회, 희생자유족회 등 관련 기관·단체가 참석해 기억과 화해, 입법의 사회적 의미를 거듭 확인한다.
정치권은 이번 전시를 계기로 4·3 해결과 치유에 대한 국가적 책임과 입법부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분위기다. 국회는 향후 과거사 관련 입법과 화해 정책 논의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