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도광산 추도사에 강제노동 언급 빠져”…대통령실, 日에 ‘합당한 내용’ 촉구
정치

“사도광산 추도사에 강제노동 언급 빠져”…대통령실, 日에 ‘합당한 내용’ 촉구

김서준 기자
입력

사도광산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역사 인식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 대통령실은 13일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추도식이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추어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그런 입장에 따라 앞으로도 일본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전하며 한일 간 역사 문제 협의가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또 “올해 만족스러운 결론에 이르지 못했지만,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기본 입장 하에서 상호 신뢰와 이해를 쌓고 여건을 갖춰 나갈 때 과거사 문제를 포함한 협력의 질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추도사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반복적으로 누락되는 현실에 깊은 유감을 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둘러싼 논란은 지난해부터 한일 양국 외교 관계의 주요 쟁점이었다. 일본 정부는 작년 7월 유네스코에 등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하자 현지 추도식을 약속한 바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추도식에서도 조선인 강제노동의 ‘강제성’은 일본 측 추도사에 담기지 않았다.

 

해외 동포와 시민단체, 정치권 일부에서는 일본의 역사 왜곡 시도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사전에 일본 측 추도사에서 강제노동 관련 표현이 빠질 것으로 보고 올해 행사 불참을 통보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별도의 공식 언급을 내놓지 않은 채 추도 행사를 강행했다.

 

양국의 외교 현안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상 간 신뢰 구축과 과거사 인식 간극이 한일 관계 전반에 미칠 파장도 커질 전망이다. 이번 사도광산 추도사 논란이 과거사 문제 논의와 미래 협력의 분기점이 될 지 주목된다. 정부는 추도식 이후에도 일본 측과 관련 사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통령실#사도광산#강제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