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권익 부당침해 안돼”…외교부, 美 대규모 불체자 단속에 유감 표명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이 대대적으로 진행되며 한국인 300여 명이 구금됐다. 한국 정부와 외교부가 즉각 유감 표명을 내놓으며, 투자기업과 우리 국민의 권익을 두고 외교 마찰 양상이 감지되고 있다. 단속이 알려진 직후 외교부는 긴급 대책에 착수, 미 당국의 현장 조치에 치밀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5일 외교부 이재웅 대변인은 서울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미국의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투자업체의 경제활동과 우리 국민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하게 밝혔다. 이어 “주미 대사관 총영사와 주애틀랜타 총영사관의 영사를 현장에 급파하고, 현지 공관 중심 현장대책반도 즉각 가동 중”이라며 적극적인 외교적 대응을 부각했다.

외교부는 또 주한미국대사관을 통해 우리 정부의 깊은 우려와 유감의 뜻을 미국 측에 공식적으로 전달했다. 서울 외교가에서는 “대규모 구금 사태를 두고 정부가 미국 정책에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하는 경우는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이재웅 대변인은 “우리 국민의 정당한 권익이 침해당하지 않도록 미 당국에 경각심을 갖고 접근해달라고 당부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이민세관단속국과 국토안보수사국은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서배나 소재 HL-GA 배터리회사 공사장에서 대규모 불법체류자 단속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약 450명이 현장에서 체포됐으며, 이 중 한국인 300여 명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 관련 기업과도 긴밀히 소통하며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미국 측의 공식 절차에 따라 진행된 사안으로, 사전 통보 없이 사건이 발생했고 현지 공관을 통해 인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구금된 한국인들의 미국 비자 등 신분 관련 정보를 토대로 불법체류자로 지목된 배경과 법적 근거를 집중 파악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사안에 직접 관심을 갖고 외교부에 신속 대응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정부의 브리핑도 잇달아 긴급히 진행됐다. 현재 외교부 현장대책반은 기업과 협의하며 상황 전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미국 투자 확대 속에 우리 국민 권익 침해 우려가 다시 불거졌다며, 향후 한미 간 외교 현안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미 당국과 긴밀히 협의하며 300여 명 구금 등 대규모 사태의 조기 해소와 사실관계 명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