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가 예측한 2050년 신체”…위워드, 좌식 생활 심각성 경고 → 건강 산업 경각심

김서준 기자
입력

AI 기반 예측 기술이 인간 신체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글로벌 보건 데이터와 챗지피티(ChatGPT)를 접목해, 만성적 좌식 생활이 2050년 인류에게 미칠 신체적 변화를 AI 모델로 시각화했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 프로젝트가 건강 산업의 위험 알람이자, ‘운동 부족 팬데믹’에 본격 대응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위워드는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가상의 인물 ‘샘(Sam)’을 만들어냈다. 이 AI 비주얼은 앉아서만 지내는 라이프스타일을 지속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실제 신체 변화—구부정한 허리, 앞으로 쏠린 목, 복부 비만, 부은 발목, 조기 노화 등의 특징—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AI 예측은 좌식 생활 시간이 확인된 글로벌 통계와 WHO 신체활동 권고 기준을 기반으로 구현됐다. 특히 복부 지방 축적, ‘거북목(tech neck)’, 어깨·목 만성통증 등은 기존 연구결과 대비 더욱 두드러진 근골격계 질환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이 모델은 AI가 데이터 기반 방식으로 현대 질환 리스크를 가시화한 점에서 기존 캠페인 대비 전달력에 차별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화면에 노출될 때 방출되는 블루라이트의 피부 노화·색소침착 영향, 화면 응시로 인한 눈 피로 및 두통, 다리와 발목 부종 및 혈전·정맥류 악화 가능성 등 복합적인 건강 저하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시장 측면에서는, AI 기반 건강경고 솔루션이 향후 보험,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활습관 개선 서비스 등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실제 위워드는 “운동 부족에 따른 신체 변화가 외형적 문제를 넘어 심혈관 및 사망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WHO 통계상 청소년 80%가 하루 권장 활동량에 미달해 ‘운동 부족 팬데믹’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현상의 심각성을 뒷받침한다.

 

글로벌 사례로는 헬스케어 기업들이 AI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비대면 운동 처방 등 차별화된 대응이 전개되고 있다. 미국의 주요 보험사는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프리미엄 산정 등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운동 부족 ‘팬데믹’에 대한 규제와 정책적 대응도 주요 과제로 부상한다. 보건의료 현장에서는 생활습관병 예방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정책, 근골격계 질환 감시 및 경고제 도입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데이터 활용·개인정보 보호, 공공 캠페인 접목 등 글로벌 표준 제도 마련도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건강경고와 예방적 의료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AI가 예측한 신체 변화가 실제 생활습관 개선 행동으로 이어진다면, 산업 구조에도 큰 변화가 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프로젝트와 같은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이 실질적으로 건강 행태 변화 및 시장 전환점을 만들지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위워드#who#챗지피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