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산가족, 남북이 머리 맞대야”…이재명 대통령, 근본적 해결 촉구

이도윤 기자
입력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둘러싸고 정부와 북한 간 신경전이 재점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연이틀에 걸쳐 대화와 협력을 통한 근본적 해결을 거듭 촉구하면서, 남북 간 인도적 문제 논의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3회 이산가족의 날 기념식 축사에서 “이산가족 문제는 남북이 머리를 맞대 반드시 풀어야 할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임웅순 국가안보실 2차장이 대독한 이날 축사에서 이 대통령은 “안타깝게도 현재 남북 관계는 높은 불신의 벽에 가로막혀 있으나, 대화와 협력을 통해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추석 연휴에도 실향민과의 만남을 마련했던 이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또다시 북한을 향해 인도적 교류 및 대화 재개의 필요성을 환기했다. 그는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산가족 영상 편지 제작, 가족 확인을 위한 유전자 검사 등 교류 기반도 차근차근 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산가족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서는 민간의 능동적 참여와 함께 국회, 그리고 국제사회의 꾸준한 관심이 절실하다”는 점도 거듭 당부했다. 이산가족 2세·3세가 희망을 품을 수 있는 기반 조성 역시 언급하며, “정부는 평화추구라는 사명을 저버리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반복적 발신이 북한에 인도주의적 대화 테이블 복귀를 위한 압박임과 동시에, 광복 80주년이라는 상징적 시기를 계기로 남북 신뢰 회복의 모멘텀을 노린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남북 간 대화가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정부의 이러한 메시지가 북측을 얼마만큼 움직일지 주목된다는 것이다. 반면 일부 보수야권에서는 “북한의 실질적 변화 없는 반복적 대화 촉구가 실효성이 낮다”는 신중론도 제기됐다.

 

이산가족의 날은 2023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매년 추석 이틀 전 열린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광복의 빛, 평화와 만남의 길을 비추다’라는 주제 아래 합동추모식, 창작무용 공연, 유공자 포상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다. 각 지역 통일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특색 있는 문화행사도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를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현안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할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남북 교류 확대 방안과 함께, 국제사회와 협력해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다각도로 모색할 계획이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이산가족#남북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