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화재 여파”…국가정보망 장애에 직원 사망, 공공 IT안전성 재조명
대형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국가 통합정보망 장애가 IT·공공행정 분야의 중대한 위기로 번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후 전산망 정상화가 지연되는 가운데, 현장 직원이 극심한 업무 부담 끝에 사망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647개 중 115개에 그치며 전산 인프라의 취약점과 인력 보호 이슈가 전면에 부각되고 있다.
사고는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소속 4급 직원이 투신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인은 경찰 조사 대상에는 들지 않았으나 지속된 사고 수습과 복구 관련 스트레스가 누적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보자원관리원은 국가 핵심 정보 시스템의 백업·운영을 담당하는 곳으로, 이번 화재로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 작동이 대거 중단됐다. 복구 작업에는 고도의 정보통신기술(IT) 역량과 야간 근무가 요구되며, 주말에는 클라우드 존 구축 등 대안 수립까지 병행이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이번 사건은 기존 공공 정보 시스템 복구 체계가 재난·사고에 얼마나 취약한지 드러냈다. 미국, 일본 등은 이미 데이터센터 이원화·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국내는 주요 서비스 다중화와 인적 자원 보호 장치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대규모 정보시스템 관리자의 물리적·정신적 리스크, 인력의 과중 업무 환경에 대한 제도·정책 개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 IT인프라의 재해 복구 체계 고도화와, 관리 현장 인력 보호에 대한 실질적 지침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가 공공 IT 인프라 안전 체계 개선과 운영 인력 복지 강화의 분기점이 될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