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AI GPU 인프라 동맹”…현대차·삼성 연합, 초거대 컴퓨팅 확보→미래 모빌리티 가속

강태호 기자
입력

정부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 네이버가 인공지능 고도화를 위한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 인프라 구축에 나서며 국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종로구 버텍스홀에서 엔비디아 GPU 26만장 도입을 위한 실무협의단, 이른바 워킹그룹을 발족했다고 밝혔고, 참여 기업들은 조기 도입과 효율적 활용 방안을 논의하며 상시 협력 체계를 가동하기로 뜻을 모았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현대자동차가 이 연합의 핵심 축으로 참여하면서, 자율주행·지능형 공장·모빌리티 서비스에 이르는 가치사슬 전 영역에서 초거대 AI가 본격 투입될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워킹그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 언급된 엔비디아 GPU 26만장 도입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한 실행 기구로서, 정부와 민간이 역할을 분담해 글로벌 AI 인프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제도화한 조치로 해석된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T는 각각 GPU 5만장을, 네이버는 6만장을 확보하는 구도를 취하게 된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방대한 양의 차량 주행 데이터, 공장 운영 데이터, 고객 사용 패턴을 처리할 수 있는 연산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고도화된 자율주행 알고리즘 학습, 차량 내 대화형 인공지능, 차량·클라우드 연동 서비스 등에서 연산 병목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I GPU 인프라 동맹…현대차·삼성 연합, 초거대 컴퓨팅 확보→미래 모빌리티 가속
AI GPU 인프라 동맹…현대차·삼성 연합, 초거대 컴퓨팅 확보→미래 모빌리티 가속

GPU 인프라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경쟁이 심화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일종의 전략 자산으로 평가된다. 자율주행 인공지능은 도로 상황, 운전자 반응, 날씨와 지형 조건 등 수많은 변수를 반영한 고해상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고, 전장·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역시 차량·도시·클라우드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실시간 데이터 분석 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자동차가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체제에서는 차량이 판매 후에도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신규 서비스 탑재를 통해 가치를 축적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초거대 GPU 인프라라는 점에서 이번 조기 확보 논의는 전략적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워킹그룹 발족식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2차관을 비롯해 송용호 삼성전자 부사장, 진은숙 현대자동차 부사장, 유경상 SKT AI CIC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주요 기업의 AI·클라우드 책임자가 대거 참석했다. 이들은 엔비디아 GPU 도입 이후의 활용 분야를 공유하며, 기업 간 중복 투자를 줄이는 동시에 첨단 연산 자원을 국가적 차원에서 효율 배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차량 개발 시뮬레이션과 자율주행 검증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 가상 테스트베드로 확대해 실제 도로 시험 부담을 낮추고,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를 빠르게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인프라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 워킹그룹을 통해 정책·규제 이슈와 기술 수요를 현장에서 상시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고위급 워킹그룹을 개최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가 조성될 경우, 자동차와 통신, 반도체, 클라우드 산업이 하나의 생태계로 결합하는 속도가 빨라져,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데이터 서비스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를 좁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류제명 2차관은 정부와 민간이 한 팀으로 AI 강국 도약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하며,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국내 AI 생태계 구축에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완성차 업계에 대규모 AI 실험의 발판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전기차·자율주행·모빌리티 서비스 경쟁에서 새로운 성장 곡선을 그리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갠트리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공장, 차량용 대규모 언어 모델, 차량과 도시 인프라를 잇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될 수 있어, 자동차 산업의 기술·비즈니스 구조에 중장기적인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자동차#삼성전자#엔비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