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 외교안보 현안 맞춰 방사포 발사”…합참, 무력시위 가능성 경고

윤지안 기자
입력

외교 안보 현안을 둘러싸고 북한이 군사 행동에 나섰다. 북한군이 한중정상회담 당일과 한미 국방부 장관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동반 방문 직전에 각각 방사포를 발사해, 동북아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모양새다. 특히 합동참모본부가 무력시위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서면서 정치권과 안보 당국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공식 발표를 통해 “우리 군은 지난 1일 오후 3시와 3일 오후 4시쯤 북한 서해북부 해상으로 발사된 방사포 각 10여 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군 정보에 따르면 두 차례 모두 수도권 위협을 겨냥한 240mm급 장사정포로 추정된다.

날짜별로 보면 1일 방사포 발사 시점은 이재명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을 위해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맞이하기 약 30분 전 이뤄졌다. 이어 3일 발사 시각도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주한미군기지 ‘캠프 보니파스’에 도착하기 약 30분 전이었다. 미국 장관은 블랙호크 헬기를 이용해 JSA 남쪽 기지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합동군사당국은 이번 발사체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금지하는 탄도미사일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국내 주요 외교·안보 일정에 맞춘 방사포 무력시위’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한미 정보당국은 방사포의 구체적 재원에 대한 정밀 분석을 진행 중이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외교 현안 일정에 맞춰 반복적으로 군사 행동에 나서는 데 대해 “대외 메시지를 보내려는 노림수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북한의 도발 의도와 무력시위 양상에 따라 향후 한반도 정세가 경색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정치권과 안보 당국은 대북 군사 동향에 면밀히 주목하며, 추가 도발 가능성에도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정부는 한미 연합방위 협력 하에 추가 대응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합참#북한#한미국방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