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433년 만의 사죄”…임진왜란 왜장 후손들, 의승병 추모탑 앞 진심 고개 숙였다

박다해 기자
입력

임진왜란 433년 만에 과거의 상처를 직접 마주한 일본 왜장 후손들이 충북 옥천의 가산사에 모여 조상들의 조선 침략에 대해 공식 사죄했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대립 지점에서 침묵이 아닌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가 전해지며, 양국 간 민감한 역사 문제가 한층 뜨거운 감자로 다시 떠올랐다.  

 

10일 충북 옥천 조계종 사찰 가산사에서 진행된 ‘광복80주년 기념 한일 평화의 날’ 행사에는 일본인 히사다케 소마(24), 히로세 유이치(70)가 참석해 임진왜란 당시 의병과 승병을 위해 조성된 위령탑에 술잔을 올리며 선조인 왜장들의 침략에 대해 고개를 숙이고 반성의 뜻을 밝혔다. 두 사람은 충청 전투 최전선에 투입됐던 왜군 5진 후쿠시마 마사노리 부대 소속 쵸소 가베모토치카와 6진 모리 데루미츠 부대 도리다 이치의 후손으로 전해진다.  

행사에서는 이종학(이순신 장군 후손), 서재덕(서예원 장군 후손), 황의옥(황진 장군 후손) 등 조선 시기 장수들의 후손과 일본인 방문객이 손을 맞잡고 용서의 의미를 새겼다. 침략의 현장에 후손들이 마주하며 이들이 직접 사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일본 측 히사다케 소마는 “그때의 침략 행위가 잘못이라고 반성하던 중 사죄할 기회가 생겼다”며 “오늘을 계기로 많은 일본인이 과거를 되새기며 평화의 시대로 함께 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가산사 주지 지원 스님도 “임진왜란 발발 433년이 지났지만 이번 참회의 의미는 매우 크다. 가해자의 사과와 반성이 담긴 만큼, 화해와 용서, 나아가 평화의 미래를 함께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방문은 부산외국어대학교 김문길 일본학과 명예교수와 가산사 지원 스님의 오랜 교류와 협력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일본 교토 귀무덤 위령제에도 참석했던 두 일본인은 임진왜란 의병장 조헌과 승병장 영규 대사의 초상화가 봉안된 가산사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 왔다.  

 

이날 행사 뒤 두 일본인은 청주에 위치한 단재 신채호 선생의 묘소와 사당,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가를 찾아 조선 독립운동의 역사적 현장도 직접 살폈다. 이어 11일에는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을 방문한 뒤 출국길에 오른다.  

 

이번 평화참배가 양국 민간 차원에서 전해지는 ‘사죄와 화해’라는 점은 한일관계의 뿌리 깊은 역사 문제에 신선한 반향을 불러오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도 향후 현장 방문 사례를 바탕으로 한일 민간 교류 활성화와 역사적 화해 메시지 확장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히사다케소마#가산사#임진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