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예린이의 투병 일상”…할아버지와 버스정류장, 치매와 희망→가족 품은 눈물의 온기
버스 정류장에 선 예린이와 할아버지는 하루의 시작을 소박하게 밝힌다. 증평 시골길 끝에서 마주하는 두 사람의 눈빛은 오랜 기다림 끝에 닿는 반가움으로 물든다. 예린이의 작은 손은 할아버지의 가방을 대신 들어주며, 함께 걷는 골목마다 서로를 위한 배려와 애틋함이 깊게 배어 있다. 장을 보고 돌아온 집 안팎의 풍경에서 예린이는 서툰 솜씨로 순두부찌개를 끓였고, 익숙하지 않은 손길이 만든 한 끼는 할아버지에게 세상 무엇보다 소중한 식사가 된다.
열네 살 예린이는 또래에겐 익숙지 않은 병과 함께 살아간다. 모계로 이어진 멜라스 증후군이란 희귀질환 때문에, 스스로 혈당을 체크하고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했던 지난 시간들. 어린 나이에 엄마를 같은 병으로 잃고 나서 예린이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마주하며 성숙해졌다. 아버지 없는 외가에서, 힘든 투병과 학업 모두를 짊어져야 했던 성장의 순간. 그 곁에는 항상 할아버지가 있었다.

할아버지에게도 생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았다. 무릎의 통증과 생활고가 번갈아 닥치고, 최근에는 건망증과 감정기복이 잦아졌다. 결국 치매 판정을 받은 후에도 “손녀는 절대로 외롭지 않게 하겠다”는 마음만은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 예린이가 할아버지의 변화에 안타까움 속 함께 하루를 버텨내는 모습은, 남겨진 가족의 의미를 절실하게 전한다.
가족이란 이름은 서로의 안부를 살피는 기다림에서 완성된다. 버스 정류장에 드리운 두 그림자, 서로의 신뢰와 안타까움, 그리고 묵묵한 사랑이 길게 잇닿는다. 예린이와 할아버지의 조심스럽고도 담대한 동행은 마을과 시청자 모두에게 따뜻한 울림이 돼 돌아온다.
이들의 진솔한 이야기는 ‘동행’을 통해 오는 9월 18일 밤 9시 40분, 깊은 감동으로 시청자를 찾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