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조정된 통일부 조직 80% 복원”…정동영 장관, 남북대화 기능 강화 시사
윤석열 정부에서 축소됐던 통일부 조직의 대부분이 정동영 통일부 장관 체제에서 다시 복원될 전망이다. 조직 축소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과 함께 통일 정책 방향이 전환 조짐을 보이고 있다.
18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일부와 행정안전부는 통일부 정원을 기존 533명에서 약 600명 규모로 확대하는 내용의 직제 개정안을 마련하고 협의를 마무리 단계에 두고 있다. 이번 개편안은 2023년 윤석열 정부 시기에 정원이 81명 감축됐던 수준의 80%가량을 회복하는 것으로, 실장급을 포함한 고위공무원단 직위도 2~3개까지 늘리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다.

통일부 조직 복원의 핵심은 남북 대화와 교류·협력 기능의 정상화다. 정동영 장관은 최근 “윤석열 정부에서 과도하게 축소됐던 통일부 정원과 기능을 원상 복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이 통일부를 “대북 지원부”라고 비판하며 사라졌던 남북교류협력 담당 실·국이 재편성되고, 사회적 대화를 위한 별도 기구 신설도 추진된다.
2023년 7월 단행된 윤 전 대통령의 조직조정 당시, 통일부는 4개 남북교류협력 담당 실·국을 1개국으로 통폐합하고 정원의 15%를 축소하는 등 대대적 개편이 이뤄졌다. 정동영 장관 취임 이후 통일부는 이를 “남북관계 정상화와 대화의 장 마련” 명분으로 되돌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여권에서는 통일부 조직 복원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견해와 함께, 대북정책 기조 변화를 예고하는 포석이라는 평가가 일부 제기된다. 반면 야권 일각에선 “과도한 조직 확대가 국민적 동의를 얻지 못할 수 있다”며 정치적 쟁점화 가능성도 경계하고 있다.
통일부와 행정안전부의 최종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기획재정부와 예산 조정 절차를 거쳐 다음 달 중 직제 개정이 완료될 전망이다. 국회 역시 통일 정책과 관련해 입법·예산 심의 과정에서 여야 간 공방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