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 최대화 딜”…여한구,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조치 위해 방미
한미 통상 갈등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핵심 협상 당사자인 여 본부장은 “국익에 부합하고 합리적인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출발 직전 입장을 밝혔다.
여한구 본부장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를 비롯한 미 통상 당국자들을 잇따라 만나 한미 관세 협상 후속조치를 위한 협의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이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 후 귀국한 뒤 불과 하루 만에 이어진 산업부 고위급의 연이은 방미 행보다.

여 본부장은 출국 현장에 모인 취재진에게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전방위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미는 7월 30일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대미 투자 3천500억 달러(약 486조원) 규모를 시행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으나, 세부 협의는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다.
양국은 8일 워싱턴 DC에서 실무협의, 12일 뉴욕에서 장관급 회담을 consecutive로 이어가며 논의했으나, 대미 투자 방식과 구체적 실행안 등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현지시간 11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은 그 협정을 수용하거나 관세를 내야 한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여한구 본부장은 “지금은 균형적이고 공정한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한 지난한 협상의 과정”이라며 “최대한 국익에 부합하는 결과 마련을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부가 고위급 ‘릴레이 방미’로 대미 외교 총력전에 나선 배경을 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투자와 관세 수준이 산업계에 미칠 영향이 큰 만큼, 다음 협상 결과가 양국 통상 환경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이번 방미 후속 실무 협의와 관련 안건 처리가 마무리되는 대로 관세·투자협상 최종 결론을 도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