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에 140조 투자”…엔비디아-오픈AI 전략동맹, 글로벌 시장 지각변동
현지시각 22일, 미국(USA)에서 엔비디아(Nvidia)와 오픈AI(OpenAI)가 최대 1천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양사는 첨단 AI 칩이 적용되는 10기가와트(GW)급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구축에 협력하며, 이 소식에 엔비디아 주가는 3% 이상 급등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AI 시장 주도권 경쟁에 결정적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이날 오픈AI와 차세대 AI 칩 ‘베라 루빈’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건설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1단계 프로젝트는 내년 하반기 1GW 인프라 구축과 100억 달러 투자를 시작으로, 전체 데이터센터는 2026년 하반기까지 가동 목표다. 투자에 따른 지분 일부도 확보해 장기적 파트너십을 다질 예정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번 프로젝트는 400만~500만 개 GPU 생산의 대규모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AI 인프라 확장 경쟁은 업계의 핵심 화두로 부상해 있다. 오픈AI는 기존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뱅크, 오라클 등과도 협력 중이며, 브로드컴과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서는 등 AI 인프라 다변화 전략을 펼쳐 왔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동맹으로 데이터센터 획득 및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게 된다.
즉각적인 시장 반응도 눈길을 끈다.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184.55달러로 거래를 마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가별 주요 매체들은 “AI 시대 인프라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된 신호”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투자가 “혁신 생태계 판도를 흔든다”고 평했다.
분석가들은 엔비디아와 오픈AI의 파트너십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재편, AI 서비스의 진화, 그리고 빅테크와 칩기업 간 힘의 균형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전문가들은 “10GW급 데이터센터는 기존 시장을 뛰어넘는 초대형 실험”이라면서 “업계 전반에 대규모 투자와 합종연횡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이행 조건, 투자 단계별 속도, AI 칩 수급과 빅테크 간 협력 확장 여부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AI 시장 패권 다툼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관계와 산업구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