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美대사관 투자기업인 비자데스크 신설 곧 가시화”…조현 장관, 한미 비자 문제 해결 의지 천명
정치

“美대사관 투자기업인 비자데스크 신설 곧 가시화”…조현 장관, 한미 비자 문제 해결 의지 천명

전민준 기자
입력

한미 비자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정점에 달한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주재 한국기업인과 투자자를 위한 별도 비자 데스크 신설 계획을 공식화했다. 외교 당국 간 협의의 핵심 인사인 조현 장관은 12일 인천국제공항 귀국 현장에서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조 장관은 한-미 양국이 한국인 집단 구금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국장급 워킹그룹을 신속히 결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 한국에서 기업투자와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이 가장 빠르게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주한미국대사관에 별도 데스크 설치 등 논의를 위한 워킹그룹을 만들기로 미 국무부와 외교부 간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주한미국대사관 내 기업인 비자 데스크 운영과 관련해서는 “금방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워킹그룹 출범과 관련해 조 장관은 “최소한 국장급에서 만들고, 가장 이른 시일 내 결성될 것”이라며 실질적 대책 마련에 속도를 예고했다. 조 장관은 이번 협상으로 귀국한 300여 명의 국민에 대해 “고초를 겪으신 데 대해 거듭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숙연하게 말했다. 이어 “이들이 다시 미국에 일하러 갈 때 비자와 관련한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요구했고,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으로부터 확답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확답에 대해 문서화된 합의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그럴 필요는 없었다. 루비오 장관과 합의한 사안이기에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앞으로 어떤 비자를 받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미측과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며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힘을 주었다.

 

한편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함께 귀국하며 “비자 문제에서 제일 빠른 것은 법령 해석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워킹그룹은 우선 단기 상용 비자인 B1 비자 등 현장의 실제 업무 범위에 대해 한미 간 해석을 통일하는 방안을 중점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미 외교 채널의 신속한 협의와 루비오 장관의 입장 표명에 따라 관련 비자 정책 개선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정부는 워킹그룹을 통한 세부 대책 도출과 투자기업인의 신속한 비자 발급 지원, 추가 피해 방지 체계를 빠르게 구축할 방침이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미국대사관#루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