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복구 총력전”…윤호중 장관 현장 진두지휘로 안전망 점검

박진우 기자
입력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이후, 행정 전산망 복구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8일 직접 현장을 찾아 서비스가 중단된 정보 시스템의 복구 상황을 점검하고, 일선 근무자 및 기술지원 인력에 대한 지원 방안을 강조했다.  

특히 피해 규모가 컸던 5층 7-1전산실 등 주요 서버 공간의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내 민간클라우드(PPP)로 이전해 복구를 서두르고, 분진 피해를 입은 나머지 시스템은 대전센터 내 여유 공간을 활용한 이중화 복구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647개 시스템 중 8일 오후 6시 기준 167개가 복구돼, 복구율은 25.8%에 이른다.  

현재 복구 현장에서는 공무원 220명 등 약 960명의 인력이 연휴도 반납하고 투입돼, 분진 제거를 포함한 전산실 온전성 회복과 신규 전력공급 설비 가동 준비에 집중 중이다. 최근 8전산실 분진 제거가 완료돼 곧 전력 공급이 재개되면 복구 속도가 배가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파손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과 대전 내 전산실 재가동을 병행하며, 향후 협의 지연 시 계획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디지털 정부의 안전망으로서 이중화와 클라우드 분산 배치 등 중장기 기술 재정비가 동반될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공공 IT 인프라 복구는 국민 불편 최소화와 직결된다”며, 현장 근무 환경 개선, 심리적 지원 확대 등 후속조치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최근 전산 장애 관련 업무를 담당한 공무원의 극단적 선택과 관련해 “순직 인정 등 지원책을 강구할 것”임을 시사, 조직 내 심리적 안전 이슈까지 범정부적으로 관리한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IT 재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중화, 분산 복구 전략이 공공 시스템 전반의 회복탄력성을 좌우할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일선 인력의 현장 대응과 재해 복구 매뉴얼 정비가 공공 IT 서비스 신뢰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산업계는 정부의 정보 시스템 복구와 안전망 재정비가 실제 공공 서비스의 장애 최소화와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적 안정성과 함께, 근무자 보호·심리적 지원 등 산업과 제도 간 균형이 새로운 성장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호중#국정자원#정보시스템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