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치로 헬스케어 혁신”…삼성, 미국서 연내 베타 출시 예고
삼성전자의 인공지능(AI) 기반 ‘헬스 코치’ 서비스가 올 연말 미국 시장에서 베타 버전으로 첫선을 보인다.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되는 수면, 영양, 활동, 스트레스 등 핵심 건강 데이터를 스마트폰 앱의 챗봇 형태로 통합 분석해 맞춤형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산업계는 AI 기반 라이프스타일 코칭이 헬스케어 생태계의 주도권 경쟁에서 새로운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10일(현지 시각)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직후 공식화됐다. 박헌수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디지털헬스팀장은 “미국에서 먼저 베타 서비스를 도입하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국내에도 규제에 맞춰 점진적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개인정보 보호, 원격 의료 등 국내 규제 이슈로 미국을 실험 무대로 택한 전략적 접근이다.

삼성 AI 헬스 코치는 기존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이터에 심층 AI 분석을 결합하는 게 핵심이다. 사용자는 수집된 생체 지표를 챗봇과 자연어로 주고받으며 자신의 건강 상태를 해석받고, 생활습관 개선 팁까지 즉각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데이터 분석은 온디바이스(on-device) 방식 기본을 두고, 클라우드 공유를 원치 않는 사용자를 위한 선택권도 적용해 개인정보 보호에 주력했다. 이는 “원격 진료가 불가한 국내 현실에서는 생활습관 개선 등 환자 자기관리 차원의 서비스 확대가 동력”이라는 것이 박 팀장의 설명이다.
미국은 이미 원격 모니터링과 의료 행위 연계가 활발한 만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초기 시장 진입의 적기로 평가된다. 반면 국내는 원격의료 제도화와 AI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의 임상 허용 범위에 대한 논란이 여전하다. 업계는 “헬스케어 데이터의 민감성, 의사-환자 관계 변화 등에 따른 사회적 합의와 규제 정비가 산업 확산의 열쇠”라고 진단한다.
현지 테크 포럼에서 협력 파트너사들도 “병원 방문 외에도 1년 365일 환자 데이터 관찰이 가능해야 한다”, “디지털 헬스와 기존 의료의 무결합(심리스) 통합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이미 병원-환자 간 원격 관리, B2B 모델, 보험 연동이 경제·의료적 가치로 확산되는 중이다.
삼성도 향후 미국 기업 인수와 협력(B2B)을 통해 추가 사업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혈당 등 진단·치료적 활용은 아직 개발 중이며, 株기 관 건강정보(혈관 스트레스 등) 추가 모니터링 기능부터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실질적 수익모델은 헬스 관련 기능 무상 제공 정책 이후, 고도화된 프리미엄 서비스에서 전략적으로 도출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 전문가들은 “디지털 헬스 시장의 제도화와 데이터 활용 범위가 서비스 확산의 최대 변수”라며 “AI가 의료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에도 규제와 윤리적 이슈를 풀어가는 속도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산업계는 이번 AI 코치 서비스가 실제 소비자 경험에 안착하며, 원격의료 제도화 논의를 촉진할지 지켜보고 있다. 기술·윤리·산업 구조의 균형 맞추기가 새로운 성장 조건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