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7명 모두 숨진 채 수습”…해체 작업 중 붕괴, 구조의 한계 드러내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마지막 실종자가 14일 밤 발견되며, 매몰됐던 7명 작업자 모두 숨진 채 수습됐다. 이번 사고로 건설 현장의 구조적 한계와 안전관리 부실 문제가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14일 오후 9시 57분께 울산광역시 북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5호기 잔해에서 60대 김씨의 시신이 발견됐다. 구조대는 사고 현장에서 중장비를 투입해 잔해 속 내부 수색을 반복했고, 오후 8시 49분께 김씨의 위치를 파악한 뒤 약 1시간 만에 철제 구조물을 절단해 접근했다.

이로써 지난 6일 오후 2시 2분 보일러 타워 해체 작업 중 발생한 붕괴로 매몰됐던 7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고 발생 당시, 노후 보일러 타워 해체를 위한 ‘사전 취약화 작업’에 투입된 작업자 9명 가운데 2명만이 현장에서 급히 탈출했고, 나머지는 잔해 속에 고립됐다.
구조는 초기부터 난항을 겪었다. 소방당국이 사고 1시간여 만에 1명(40대 작업자 김씨)을 발견했으나, 구조 진입이 어려워 이튿날 오전에야 사망 판정이 내려졌다. 이후 7일 매몰자 2명, 9일 1명, 11~13일 각각 1명씩의 시신이 추가로 발견됐다.
소방청은 마지막 실종자 수습 후, 이날 오후 10시 17분부로 국가소방동원령을 해제했다.
이번 해체 작업은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하고 HJ중공업이 시공, 발파 전문업체 코리아카코가 도급받아 진행했다. 동서발전과 HJ중공업은 붕괴 발생 1주일이 지나서야 공식 사과했다. 한편, 현장에서는 발주·시공·하청 체계가 반복적으로 안전 사각지대를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민단체와 유가족 등은 “책임 소재를 명확히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조 단계부터 사고 처리까지 이어진 한계는 사업장 안전관리 체계 전반의 점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찰과 관계 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 안전조치 이행 여부, 구조 지연 원인 등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번 사고는 구조적 문제 여부를 두고 후속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