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장애 13일째”…25.8% 복구율에 IT 행정 우려

오태희 기자
입력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가 13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시스템 정상화의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647개 정부 행정 시스템 가운데 167개(25.8%)만이 복구돼, 디지털 행정 인프라의 취약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되고 있다. 복구된 서비스에는 국민 파급력이 큰 1등급 시스템 22개가 포함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관세청, 국무조정실 등 주요 부처의 업무포털 및 국가 데이터 서비스 일부가 재가동됐다.

 

정부는 올 연휴를 시스템 정상화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관계기관과 사업자 등이 연인원 960명 규모로 복구 작업에 집중해 왔다. 이 가운데 220명의 공무원뿐만 아니라, 분진제거와 기술지원을 맡은 160여 명의 전문 인력도 현장에 투입됐다. 시스템 장애는 데이터센터 화재 후 해당 시설 내 7전산실, 7-1전산실 등 주요 구역의 물리적 손상과 연계 운영 구조 때문에 복구가 늦어지고 있다.

이번 장애를 계기로 물리적·논리적 이중화, 클라우드 백업 등 첨단 IT 복구 기술의 적용 필요성이 제기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주요 중앙행정 시스템을 분산복제하거나, 원격지 DR(재해복구) 센터와 동시 운영하는 것이 대세다. 이에 비해 국내 정부 시스템의 복구율은 여전히 20%대에 머물며, 빠른 정상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화재 현장을 직접 찾아 “7전산실과 7-1전산실이 5·6전산실과 연계 운영되는 구조라 복구가 지연된다”면서도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복구 및 일정 단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추가 복구 계획을 세우고, 보안·재해관리 시스템 전면 재점검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 사태가 공공 IT 인프라의 내진 및 화재 안전, 디지털 전환 이후의 재해복구 능력에 근본적 점검 신호를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데이터 보존 및 업무 연속성 확보 방안 강화가, 향후 행정정보 시스템 혁신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계는 장애 시스템의 조속한 복구와 동시에, 장기적 관점에서 공공 전산자원의 재해 내성 강화 전략 마련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전산망#국가정보자원관리원#윤호중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