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 내 데이터센터 14개 동 신설”…미쓰비시지소, 대규모 투자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공략

이소민 기자
입력

현지시각 8일, 일본(Japan) 부동산 대기업 미쓰비시지소가 2030년까지 미국(USA) 전역에 14개 동의 대형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건설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대규모 투자 계획은 약 2조3천억 엔(약 22조 원) 규모로, 글로벌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산업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조치다. 미쓰비시지소가 직접 1조7천억 원을 투입하고 나머지는 기관 투자자 및 타 기업에서 조달할 방침이다.

 

계획에 따르면, 이미 버지니아주에 완공한 센터를 포함해 향후 버지니아, 조지아, 일리노이 등 주요 지역에 데이터센터가 순차적으로 들어선다. 전체 14개 동의 총 전력용량은 약 2,800메가와트(㎿)로, 이는 미쓰비시지소가 도쿄에서 현재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 용량의 약 2.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미쓰비시지소’, 美 데이터센터 14개동 신설 추진…총사업비 22조원 규모
‘미쓰비시지소’, 美 데이터센터 14개동 신설 추진…총사업비 22조원 규모

이같은 해외 확장은 일본 내 부동산 시장이 자재값, 인건비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공사 지연이 잦아진 배경과 맞물려 추진되고 있다. 닛케이 등 현지 언론들은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산업 성장세가 미쓰비시지소의 미국 투자 결정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신설 데이터센터 2~3개 동에는 이미 미국 정보통신(IT) 대기업의 입주가 확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미쓰비시지소 산하 미국 부동산 운용사 TA 리얼티가 이번 데이터센터 건설과 운영을 맡으며, 아마존닷컴,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 내 클라우드, AI산업 성장세에 힘입어 미쓰비시지소의 포트폴리오 다변화 효과가 기대된다”면서도, “미국 내 지역별 전력 수급 및 미중 관계 등 지정학적 변수에 따른 위험 관리가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CNN 등 주요 외신 역시 “일본 대기업의 미국 ICT 인프라 투자 확대가 글로벌 경쟁 구도를 자극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장에서는 추가적인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 방안 발표와 미국 IT 대기업의 입주 확정 여부가 미쓰비시지소 실적 및 현지 부동산 시장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대규모 프로젝트가 지역별 에너지 수급, 미중 경쟁, 그리고 글로벌 IT기업들의 미국 입주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쓰비시지소#미국#데이터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