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조직개편·가계대출 규제 놓고 청문전 돌입”…이억원 후보자, 정책·신상 모두 검증대
금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와 정치권의 시선이 이억원 후보자에게 쏠리고 있다. 정책 검증과 신상 의혹이 맞물리면서 치열한 청문전이 예상되는 분위기다. 금융권과 국회 정무위원회는 내달 2일 열릴 이억원 후보자 청문회를 앞두고 가계대출 규제 등 금융 정책과 금융위원회 조직개편 이슈를 집중적으로 다룰 전망이다.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지난 6월 27일 발표된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방안 이후 후속 대책과, 금융당국 조직개편 방향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 조직개편안과 관련해 정부조직법이 오는 9월 발표를 앞두고 있어 금융위원회 해체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금융 권력구도 변화와 관련해서도 관심이 집중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로 알려진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과의 관계, 그리고 스테이블 코인, 배드뱅크 설립, 주식시장 활성화 등 금융권 현안에 대한 후보자의 입장이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여야 모두 정책 질의를 우선 순위로 두고 있다. 한 야당 정무위 관계자는 “정통 경제 관료 출신이라 정책 검증이 핵심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또 다른 여당 정무위 관계자는 “이 후보자의 기획재정부 차관 재임 시절 정책과 현 정부 정책의 차이에 대한 구체적 견해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부동산 재건축 아파트 시세 차익, 세금 지각 납부 등 신상 관련 의혹도 청문회에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는 서울 강남구의 개포동 아파트를 2013년 취득했으며, 해당 주택의 재건축 분양 이후 약 40억원의 시세 차익을 거뒀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2020년 귀속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잘못 신고한 사실이 인사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밝혀져, 지난 17일 최종 납부한 경위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 측은 근로소득공제 오류를 정정 신고하고 가산세까지 납부했으며, 종합소득세 체납 사실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한 기획재정부 차관 퇴직 후 3년간 6개 사업장에서 겹치기로 근무하며 받은 6억원대 보수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모든 자리의 업무를 성실히 처리했다”고 밝혔다.
증인 채택에는 한국자본시장연구원장, LF 대표이사 부회장, 김앤장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등이 포함됐다. 국회는 앞으로 정책 역량과 도덕성 검증을 병행하며 금융위원회 개혁 및 금융시장 정책 전반에 대한 포괄적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