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실시간 영상장치 탑재”…멀츠, 맞춤 초음파 리프팅 강화로 에스테틱 시장 재편 주도
IT/바이오

“실시간 영상장치 탑재”…멀츠, 맞춤 초음파 리프팅 강화로 에스테틱 시장 재편 주도

정하준 기자
입력

실시간 초음파 영상장치를 장착한 차세대 리프팅 플랫폼이 에스테틱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멀츠 에스테틱스가 11일 서울에서 공개한 ‘울쎄라피 프라임’은 개인화 수요 확대에 대응한 초음파 리프팅 신제품으로, 아시아퍼시픽 전역의 의료진과 시장 관계자의 관심이 집중됐다. 업계는 초개인화·맞춤형 리프팅 트렌드에 대응한 이번 출시가 에스테틱 기술 경쟁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멀츠가 선택한 ‘울쎄라피 프라임’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한 차세대 초음파 리프팅 기기다. 피부 속 구조를 실시간으로 눈으로 확인하면서 시술할 수 있는 특허 기술 ‘딥씨’가 핵심이다. 세 가지 깊이의 트랜스듀서를 활용해 개인별 피부층에 정밀·일관적으로 에너지를 넣는 구조이며, 기존 대비 2배 넓어진 초음파 필드와 소프트웨어 개선도 적용됐다. 기존 제품 대비 더욱 선명한 영상과 맞춤 치료 지원이 특징이다.

기술적 우위는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피부 두께와 상태, 부위별 특성까지 실시간 파악이 가능해 안전성과 효과를 높였다. 현장 발표된 아시아퍼시픽 1500인 소비자 설문에서 ‘맞춤 시술’을 중시하는 응답이 94%에 달했고, 80%가 장기 효과를 위한 초개인형 솔루션에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을 밝혔다. 특히 동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획일적 미용’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찾으려는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양상이다.

 

경쟁 구도 측면에서는 멀츠가 아시아퍼시픽 지역에 배우 전지현, 이민호를 앰배서더로 선정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글로벌에서는 미국, 유럽 등에서도 AI·영상 가이드 융합 미용 의료기기 출시에 박차를 가하며 초개인화 트렌드가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규제 및 인증도 신제품 경쟁의 핵심 변수다. 울쎄라피 프라임은 FDA 승인을 포함해 전세계 300만 건 이상의 시술 경험과 한국인 피부 특성에 맞춘 리프팅 프로토콜을 내세운다. 제품의 영상 데이터 관리와 시술 가이드라인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실시간 영상·임상 데이터 기반 플랫폼의 국제적 표준화 논의도 확대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에스테틱 시장의 기술 경쟁이 초개인화, 맞춤 치료 지원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실시간 영상장치 기반 리프팅이 분기점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산업계는 맞춤형 에스테틱 플랫폼이 실제 대중화될지, 규제·윤리와 기술 혁신 사이에서 새로운 시장 질서를 이끌지 주시하고 있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멀츠#울쎄라피프라임#전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