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 국감 돌입”…여야, 10월 13일 국정감사 일정 잠정 합의
정기국회 국정감사 시점을 놓고 거센 신경전을 벌였던 여야가 마침내 잠정 합의에 이르렀다. 국정감사 일정은 추석 연휴가 끝난 후인 10월 13일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은 ‘추석 전 국감 시작’을 주장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결국 연휴 이후로 일정을 미뤘다. 이 같은 협상 결과는 민생 현안과 여야의 이해득실을 둘러싸고 뜨거운 공방을 벌인 끝에 나왔다.
정치권 관계자는 9월 16일 “여야가 올해 정기국회 국정감사를 10월 13일부터 진행하기로 잠정 합의했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추석을 앞두고 국감에 착수해 민심을 선점하는 전략을 구사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측의 강경한 반발에 부딪혔다. 이에 따라, 실제 국정감사 돌입은 추석이 지난 후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상임위원회 중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만이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국감 일정을 최종 의결했다. 외통위는 재외공관 현지 조사를 위해 일정을 미리 확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외통위는 10월 13일 외교부와 재외동포청, 산하기관을 상대로 국정감사를 시작한다. 14일에는 통일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에 대한 감사가 진행되며, 종합감사는 10월 28일로 잡혔다. 또 재외공관 국정감사는 아주반, 미주반, 구주반으로 나눠 총 32개 공관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여야의 국정감사 일정 조율은 향후 정기국회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국민적 민생 이슈를 둘러싼 또 다른 충돌이 예상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정치권은 국정감사 시점을 둘러싸고 실리를 노린 조정 끝에 타협점을 찾았다. 정기국회 일정 논의를 두고 여야 공방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각 상임위별 세부 일정 조율도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는 앞으로 남은 정기국회 기간 동안 주요 민생 현안 및 정책 감시 기능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