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강요는 주권 침해”…더민주광주혁신회의, 전방위 불매운동 돌입 경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투자 요구를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당원 조직인 더민주광주혁신회의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와 국회에 재협상과 안전장치 도입을 촉구하며, 불매운동과 여행 보이콧 등 전국민적 집단행동까지 예고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투자액이 470조원에 달한다는 점에서 정치권과 시민사회 모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더민주광주혁신회의는 "트럼프 행정부의 3천500억 달러(약 470조원) 현금 투자 요구는 사실상 '묻지마 배상금'에 해당한다"고 규정했다. 이들은 "국민 1인당 약 1천만원의 부담을 지우는 요구는 주권을 침해하고 동맹의 본질을 훼손하는 처사"라며 "이를 수용한다면 금융위기가 재현될 수 있고 과거 외환위기보다 더 심각한 충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요구는 전례 없는 불평등 조건"이라며 정부와 국회에 재협상, 협상 과정의 투명한 공개,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 마련을 즉각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민주광주혁신회의는 미국이 요구를 고수할 경우, "미국 여행 보이콧을 비롯해 미국산 제품과 주식에 대한 전국적 불매운동 등 전 사회적 거부 운동에 돌입하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에서도 이번 사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정부의 협상 자세와 국민적 부담을 우려하며 신속한 대응을 주문했다. 반면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동맹 간 신뢰를 져버릴 수 있는 감정적 반응"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전문가들 또한 이번 대미 투자 요구가 국내 금융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작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투명한 협상 과정과 자본 유출 방지 등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회가 향후 협상 전략을 어떻게 조율할지, 전국적인 불매운동 등 집단행동이 정치권과 여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치권은 대미 투자 요구를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여론의 향배에 따라 추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