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지휘부 전면 교체”…이재명 정부, 임은정·노만석 등 승진 인사 단행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둘러싼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재명 정부와 검찰 조직이 맞붙으며, 검찰개혁을 둘러싼 갈등이 격랑으로 번지고 있다. 심우정 검찰총장의 사의 표명과 동시에 단행된 지휘부 대거 교체 조치에 정치권과 검찰 내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1일 법무부는 대검검사급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과 대검검사급 검사 4명, 고검검사급 검사 2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발표했다. 새 인사는 7월 4일 자로 시행된다. 이로써 총장과 차장이 모두 사퇴한 대검찰청에는 노만석 마약·조직범죄부장이 대검 차장으로 승진 배치됐다. 서울동부지검장에는 임은정 대전지검 중경단 부장검사가, 서울중앙지검장에는 정진우 서울북부지검장이 각각 보임됐다.

이번 인사에서 노만석 신임 대검 차장은 사법연수원 29기로, 검찰 내에서 신중한 판단과 진중한 처신으로 평가받는다.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감찰담당관을, 박근혜 정부의 계엄령 문건 수사를 맡아 군·검 합동수사단 공동단장직을 수행한 이력도 있다. 이런 경력을 바탕으로 노 차장이 공백 상태의 대검을 이끄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모인다.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된 정진우 검사장 역시 사법연수원 29기로, 공안·기획통으로 꼽힌다. 문재인 정부 시절 ‘채널A 사건’의 수사 실무를 이끌었으며, 이후 대검 과학수사부장과 춘천지검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인천지검에서 시작한 이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정 지검장의 보임으로 공석이던 서울중앙지검장 자리가 한 달여 만에 채워졌다.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은 사법연수원 30기로, 검사장 승진과 동시에 지검장에 발탁됐다. 임 지검장은 검찰 내 문제 제기와 개혁 목소리를 꾸준히 내온 ‘내부 고발자’로 알려졌으며, 2012년 진보당 간사 고 윤중길 씨 무죄 구형으로 징계를 받았으나 대법원 승소로 위법 명령 거부의 정당성을 인정받은 이력이 있다. 또 2021년 한명숙 전 국무총리 사건 감찰 배제 논란 시 대검 지휘부와,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운 바 있다.
서울남부지검장에는 김태훈 검사(30기)가 승진 배치됐다. 김 지검장은 2021년 ‘대장동 의혹’ 수사, 문재인 정부 시절 법무부 검찰과장 등 주요 경력을 갖췄다. 윤석열 정부 시절에는 한직에 머물렀지만 이번 인사로 핵심 수사기관의 수장으로 돌아왔다.
법무부 조직도 변화가 생겼다. 기획조정실장에는 최지석 서울고검 감찰부장이, 검찰국장에는 성상헌 대전지검장이 각각 보임됐다. 두 인물 모두 검찰 각계에서 경험을 쌓아온 인사로,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준비단장을 포함해 정권 교체기의 국정과제 관리 역할을 맡게 된다.
심우정 검찰총장은 이날 사의 표명 입장문을 통해 "형사사법제도는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검찰개혁 방향에 우려를 표했다. 또 "시한과 결론을 정해 추진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심도 깊게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야 정치권은 인사 기조 변화에 각기 다른 평가를 내놓고 있다. 여당은 ‘중립적이고 안정적인 검찰 지휘부 구축’이라 강조하는 반면, 야당은 ‘정권 입맛에 맞는 인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임은정 지검장 등 개혁 성향 인물의 중용에 시민사회 일부는 ‘검찰개혁 가속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으나, 조직 내 반발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이후 검찰 조직 재편과 후속 인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전례 없는 검찰 지휘부 교체를 두고 긴장 국면에 돌입했다. 검찰 지휘기조와 조직 안정화, 그리고 개혁 동력이 중첩되는 정국의 향방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