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다우 7개월 만에 동반 급등”…미·일 무역협상 타결에 美증시 훈풍
미국 뉴욕증시가 23일(현지시간) 미·일 무역협상 타결 소식과 미·EU 협상 진전 기대감에 힘입어 3대 지수 모두 큰 폭으로 상승했다. S&P500은 또 다시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고, 테슬라·엔비디아 등 기술주가 강세를 이끌면서 투자자 심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흐름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78% 오른 6,358.97에 마감했다. 이는 올해만 12번째 사상 최고치 기록이다. 나스닥종합지수는 0.61% 올라 21,020.02를 기록했고, 대형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도 0.43% 오른 23,162.41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지수는 1.14% 급등하며 45,010.29로 7개월 만에 45,000선을 돌파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2000지수도 1.54% 올랐다. 시장 변동성을 반영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지수(VIX)는 6.79% 내린 15.38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번 증시 랠리는 미국과 일본의 무역협상이 타결되고, 유럽연합(EU)과의 무역합의도 임박했다는 발표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산 수입품 관세를 15% 수준까지 인하하겠다고 직접 밝히면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달궜다. 미국이 EU와의 무역협의에서도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 외신 보도도 호재로 작용했다.
대표 기술주들의 상승세도 눈에 띄었다. 테슬라는 0.14% 오르며 332.56달러에 마감했고, 국내 투자자(소위 ‘서학개미’)의 테슬라 보관액은 30조 608억원으로 하루 만에 2,524억원 늘었다. 엔비디아는 2.27% 급등해 170.83달러로 장을 마쳤으나, 보관액은 5,183억원 감소(19조 7,330억원)해 일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분석된다. 팔란티어 테크놀로지(3.72%↑, 154.63달러), 아이온큐(3.2%↑) 등 인기 종목도 오름세를 보였으나 보관액 감소로 차익 실현 경향이 뚜렷했다.
반대로 애플은 0.12% 내리며 214.15달러를 기록했음에도 보관액이 403억원 늘어, 주가 하락 시 저가매수세 유입으로 해석된다. 반도체·ETF 레버리지 상품에서는 가격이 오른 종목마저도 대규모 매도세가 나오는 등 단기 급등락에 따른 자금 순환이 두드러졌다.
7월 22일 기준, 서학개미의 미국 주식 전체 보관금액은 137조 149억원으로 하루 새 1조 7,245억원 감소했다. 전일(138조 3,394억원) 대비 뚜렷한 감소세로, 상승장에서 차익 실현과 종목 교체 매매가 활발히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다만 고배당주, 비트코인 선물 ETF 등 일부 자산에 대한 순매수세는 유입되는 등 투자 전략이 다변화되는 양상이다.
한편, 고프로·크리스피크림 등 소위 ‘밈 주식’의 변동성도 부각됐다. 고프로는 장중 한때 73% 폭등, 크리스피크림은 4.6% 상승 마감하는 등 극단적 등락 국면이 연출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증시 랠리가 주요국 무역협상 진전 및 빅테크 실적 개선 기대감이 동반된 결과라면서도, 일부 종목에서 보관금액과 주가의 괴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투자자들이 단기 변동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향후 증시는 미중, 미-EU 무역협상 추가 경과와 주요 IT 기업 실적 발표, 금리 정책 등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다음 주 예정된 연준의 금리 결정과 기업 실적 발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표] 뉴욕증시 주요 지수](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724/1753307932593_161112852.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