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의원의 사퇴 요구, 지도부 논의 없다”…문진석, 강선우·이진숙 인사 논란 선 그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를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내 긴장이 고조됐다. 일부 의원들이 두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주장하는 가운데, 지도부는 “논의한 적이 없다”며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18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당내 일각의 사퇴 요구에 대해 선을 그었다. 그는 “자진 사퇴 얘기를 당내 극히 일부 의원들이 하는 게 있겠지만, 그런 얘기는 지도부 차원에서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잘 모르면서 의견을 표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당내 논의의 무게 중심이 지도부에 있음을 드러낸 대목이다.

사퇴 요구 움직임의 발단이 된 공개 발언도 이어졌다. 전날 김상욱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통령께 그만 부담을 주셨으면 한다”며 이진숙 후보자에게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김영진 의원은 “국민 여론, 국민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고, 박지원 의원 역시 “민심을 역행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공식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강선우·이진숙 후보자의 거취에 대해 “끝까지 간다거나 무조건 낙마라고 말할 수는 없고, 국민이 판단하고 대통령실도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개 사퇴 요구와는 달리, 지도부는 신중한 태도로 일관하면서 여론과 대통령실의 입장에 공을 넘겼다.
여야의 시각차도 날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후보자 자진 사퇴와 관련한 주문이 이어지지만, 당 지도부는 이러한 흐름이 비공식적이며 일부 의원에 국한된 현상임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강선우·이진숙 후보자 인사 문제는 여권, 청와대, 국민 여론까지 모두 얽힌 복잡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정치권은 양 후보자의 향후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회는 향후 인사청문회와 추가 여론 수렴 과정을 통해 인사 문제를 본격 논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