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진실 규명하겠다”…이명현 해병특검, 채상병 묘소 찾아 각오 다져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외압 의혹이 전면 재조사 국면에 진입했다. 순직해병 특검팀이 수사 개시를 하루 앞둔 7월 1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으며, 정치적 충돌 지점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특검팀은 선임 지휘부 책임론·대통령실 개입설 등 첨예한 쟁점에 대해 강한 수사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이명현 특별검사와 특검보, 지휘부 등 11명은 어두운 정장 차림으로 대전현충원 현충탑에 헌화했다. 이명현 특별검사는 참배 직후 “채수근 해병의 안타까운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반드시 진실을 규명하겠다”고 방명록에 적어 결연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어 채 상병이 안장된 413 묘역을 찾은 뒤 한동안 묘비를 바라보며 묵념했다.

이 명현 특별검사는 취재진 앞에서 “본격적인 특검 수사에 앞서 제일 먼저 채 상병 묘역을 참배하고 결의를 다지고자 이곳을 찾았다”며 “기필코 진실을 규명하겠다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임성근 사단장이 이 안타까운 죽음에 밀접히 관련된 인물이라, 첫 소환 조사 대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조사는 곧 개시될 예정이다.
해병대 채수근 상병은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실종자 수색 중 급류에 휩쓸려 순직했다. 이후 무리한 수색 지시와 구명조끼 미착용 여부, 대통령실·국방부의 수사 외압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공수처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를 번복한 배경에 대통령실의 개입이 있었는지 조사해 왔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에 대해 직권남용 혐의 등도 수사 대상에 올렸다.
이번 특검팀은 공수처가 진행하던 윤석열 전 대통령 등 윗선의 수사 외압·구명 로비 의혹과, 대구지검의 임성근 전 사단장 업무상 과실치사·직권남용 혐의 사건 등을 전면 넘겨받아 직접 수사에 돌입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검의 성역 없는 수사로 전방위 진상 규명 요구가 다시 번지고 있다. 여야는 사태의 책임소재와 정치적 파장, 향후 군 통수권 책임론을 둘러싸고 격돌하는 분위기다.
특검팀의 본격 수사 개시에 따라, 관련자 소환일정과 혐의 입증 과정에서 정치·사회적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향후 특검 결과를 주시하며, 군 인사 시스템 및 외압 근절 방안에 대한 정책 방향도 검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