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금융 상담도 기록”…네이버클라우드, 업계 첫 금융보안 인증
인공지능(AI) 기반 음성인식 기술이 금융 산업의 보안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AI 음성인식 서비스 ‘클로바 스피치’가 금융보안원의 ‘혁신금융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 평가’를 업계 최초로 통과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국내 음성-텍스트 변환(STT) 제품 가운데 처음으로, 금융 산업의 높은 보안·안전성 기준을 만족한 결과라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금융보안원이 시행하는 혁신금융서비스 CSP 평가는 클라우드 도입 시 금융권이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보안성·적합성 여부를 집중 평가한다. 개인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가 집중되는 금융권 특성상, 최고 수준의 데이터 보호와 외부 공격 방지 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반영했다. 클로바 스피치가 이 평가의 벽을 넘어섰다는 것은 AI 음성인식 기술이 기존 온프레미스(내부 서버) 방식의 안전성 한계를 극복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실제 금융권에서는 콜센터 상담 내용 기록, 금융 사기 탐지, 교육 콘텐츠 자동 자막 등 AI 기반 처리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투자증권이 이 인증을 바탕으로 클로바 스피치를 도입했다고 밝혔으며, 영업점 판매 점검 등 현장 업무에 이미 투입돼 있다. 특히 회의록 자동화, 공공기관 민원 기록화 등 민간 및 공공 분야로도 적용이 빠르게 확장되는 모습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STT에 대한 보안 인증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네이버클라우드의 사례는 국내 클라우드-AI 기술의 경쟁력 제고 및 표준 선점의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도 음성데이터 보호와 AI 엔진의 보안성 검증이 핵심 평가 대상이 되고 있다.
금융보안 기준을 통과한 AI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데이터 규제 및 금융 IT 정책 변화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한 AI 서비스의 확대는 업무혁신, 사용자 데이터 보호, 서비스 자동화 경쟁 등 전방위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금융 및 민간의 디지털 전환에서 보안 인증과 AI 신뢰성 확보가 차세대 서비스 경쟁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의 사례는 AI 활용이 전 산업에서 심화되는 신호탄”으로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