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팬데믹에 청년 수면제 처방 2배↑”…서울대병원, 연령별 약물사용 빅데이터 분석
자동차

“팬데믹에 청년 수면제 처방 2배↑”…서울대병원, 연령별 약물사용 빅데이터 분석

한유빈 기자
입력

빅데이터 기반 전국 규모 연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불면증 환자의 수면제 사용이 전 연령층에서 꾸준히 증가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18~29세 젊은층은 기존 예측치를 크게 뛰어넘는 처방량 증가를 보였으며, 여성과 70세 이상 고령층은 절대 처방량에서 앞섰다. 약물 종류별로는 기존 수면제 외에 저용량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물 사용 비중이 이례적으로 늘었다는 점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이후 불면증 등 정신건강 문제의 약물치료 패러다임이 전환점을 맞았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서울대병원·서울의대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0~2022년 국내 18세 이상 불면증 환자 813만6437명의 수면제 처방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제 4대 계통(벤조디아제핀, 비벤조디아제핀, 저용량 항우울제, 저용량 항정신병약물)별 처방량 예측 모델을 만들고, 이를 코로나 기간(2020~2021년) 실제 처방량과 비교했다.

분석에 따르면 전체 수면제 처방 건수는 2010년 1050만 건에서 2022년 4240만 건으로 4배 넘게 상승했다. 여성은 남성보다 일관되게 높은 처방 실적을, 70세 이상 고령층은 다른 연령대 대비 압도적으로 많은 처방량을 보였다. 팬데믹 기간에는 특히 젊은층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2021년 18~29세 연령에서는 네 계통 모든 약물에서 코로나 이전 예측치를 가장 크게 초과하는 처방량 증가가 확인됐다.

 

가장 많이 쓰인 수면제는 졸피뎀(비벤조디아제핀 계열)이었고, 그 다음은 알프라졸람, 트라조돈 순이었다. 전체적으로는 비벤조디아제핀 계열 처방 건수가 가장 많았지만, 약물 유형별로 살펴보면 저용량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처방이 팬데믹 첫 해(2020년) 남성 38.6%, 여성 37.1%씩 급증해 수면제 시장 내 비중 확대가 확인됐다. 반면 졸피뎀 등 전통적 수면제 처방의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작아, 국내 불면증 관리 복합화 흐름이 두드러진다.

 

연구진은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악화와 삶의 질 저하 사례가 늘었고, 젊은층을 중심으로 약물치료 접근성이 달라진 영향으로 해석했다. “저용량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물의 사용 확대는 팬데믹 스트레스, 사회적 단절 환경이 만성 불면증 증가로 번지며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진료 현장에서는 복합 약물처방 사례가 증가하면서, 약물 안전성과 부작용 관리를 위한 사후 모니터링이 더욱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중간 반감기 벤조디아제핀, 졸피뎀 병용 처방이 흔해지면서 고위험군 대상 체계적 지도 필요성이 커졌다.

 

해외 주요국에서도 코로나 이후 수면장애와 약물 처방이 급증하는 양상이 포착되고 있다. 다만 국내 연구는 팬데믹 이전 장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치와 실제 처방량 변화를 비교한 대규모 분석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가 불면증, 정신건강 치료 전주기 관리 솔루션 개발과 약물 처방 디지털 관리 플랫폼 수요 확대에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동시에 식약처 등에서는 최근 수면제·정신약물 관련 부작용 사례 모니터링 및 안전사용 가이드 강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유진 서울대병원 교수는 “수면제 처방량 증가는 여성과 고령층, 팬데믹 이후 젊은층에서 모두 두드러진 만큼, 맞춤형 약물 관리와 부작용 사전차단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대병원#수면제#불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