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국정조사 회의적”…김영환 충북지사, 진상 규명 한계 지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진상 규명을 둘러싸고 김영환 충북지사가 국정조사 추진 움직임에 회의적 견해를 밝혔다. 24일 충북도청에서 기자들과 만난 김영환 충북지사는 “여야 합의로 국정조사를 실시하겠다고 하면 당연히 응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과연 어떤 새로운 내용이 추가로 드러날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국정조사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오송참사와 관련해 회동한 끝에 합의된 사안이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여야가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추진하기로 협의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참사 원인과 관리 책임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쟁점으로 부상했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만약 궁평 지하차도 내에 싱크홀이 생겼거나 차도가 붕괴했거나, 모터 배수펌프나 폐쇄회로(CCTV)가 작동하지 않았다면 도로 관리상 책임이 있지만, 현재는 모두 정상적으로 가동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검찰 조사에서 임시 비용을 들여 차단기를 설치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참사의 근본 원인은 제방 붕괴였고, 도지사에게 관리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송참사 추모 현판 설치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이 방문하고 헌화한 곳에 추모비를 만드는 방안에 대해 유가족들과 협의 중”이라며,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나 조만간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브로커 연루 의혹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국회의원은 김지사에게 김용수 전 충북도립대 총장 임명 과정에서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의 영향력 행사 의혹을 언급했다. 이에 김영환 지사는 “예전에 알고 지낸 사이일 뿐, 제기된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대꾸할 가치가 없어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오송참사 국정조사는 여야 협의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진상 규명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은 관리 책임을 놓고 충돌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회는 향후 국정조사 실시와 관련한 구체적 절차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