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회담 재개 적극 지지”…통일부, 김여정 담화에 공식 입장 밝혀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를 둘러싼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북미대화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하며 정국이 격랑에 휩싸인 가운데, 통일부가 공식적으로 회담 재개에 힘을 실었다. 통일부는 7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변인을 통해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해 북미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왔다”며 “앞으로 평화 분위기 안에서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고 북미회담 재개를 촉진하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흔들림 없이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남북 신뢰복원을 통한 대화 재개에 여전히 무게를 두는 동시에 한미공조 기조를 재확인했다는 평가다.

이번 입장은 김여정 부부장이 이날 발표한 담화 내용에 대한 대응이다. 김 부부장은 “핵보유국 지위 인정은 모든 것을 예측하고 사고해보는 데서 전제”라고 밝히며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한다.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내외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북한이 핵군축 협상을 염두에 두면서도, ‘핵보유국’이라는 신분 보장을 현재 협상의 출발점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미대화뿐 아니라 남북관계 복원이 선결돼야 한다는 기존 기조를 재차 천명했다. 한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일부 여야 의원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중재 의지를 촉구하며 “북핵 해결의 실질적 돌파구 마련이 요구된다”는 의견을 내놨다.
북·미 양측의 관점차가 여전한 가운데, 한반도 정세가 다시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지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제사회와 함께 실질적 평화체제 구축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